소아의 비장 손상시 비장 보존을 위한 비장동맥색전술

Splenic Arterial Embolization in Salvage of the Injured Spleen in Children

  • 홍순훈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외과) ;
  • 유수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외과) ;
  • 박진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외과) ;
  • 김영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외과)
  • Hong, Soon-Hoon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Yoo, Soo-Young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Park, Jin-Su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Ju (Division of Pediatric Surgery, Yonsei University Wonju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9.06.30

초록

최근 소아의 비장 손상시는 비수술적 처치로 치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대량출혈이 있거나 혈관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수술적 처치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심한 비장손상 시 비장동맥색전술을 시행하여 비장 출혈을 어느정도 저지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환아는 두 군으로 나누어 제 1군은 1993년 1월 부터 1994년 12월까지 비장 손상으로 내원 후 기존의 비수술적 처치 원칙에 따라 치료받은 환자 18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제 2군은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내원하여 비장 동맥 색전술이 치료원칙에 도입된 후 치료 받은 환자 2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장동맥 색전술은 grade III 또는 IV의 비장 손상시, 복부전산화 단층 촬영상 조영제의 누출 있는 경우, 동반장기의 손상 없이 활력 징후에 이상 있을 경우 등에서만 시행하였다. 제 1군에서는 18례중 6례(33.3%)에서 개복술이 시행되었고 이중 2례는 복강내 장기의 동반 손상이 있었다. 6례중 5례는 비장 절제술 1례는 비장 부분절제술이 시도 되어 총 비장 보존율은 72.2 % 였다. 제 2군에서는 8례에서 동맥 조영술상 비장 출혈이 확인된 후 색전술이 시행되었고 모두 성공적으로 비장 출혈을 멈출 수 있었다. 제 2군에서 개복술이 시행된 경우는 2례였는데 모두 동반 장기 손상으로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이중 1례에서만이 비장절제술이 시행되어 제 2군에서의 비장보존율은 95.6%였으며 색전술후 수혈을 필요로 했던 경우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비장동맥 색전술은 비장 손상에 의한 비장 출혈시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를 통해 보다 많은 비장을 보존할 수 있을 뿐더러 불필요한 개복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jured spleens have been successfully managed without operation in a number of children; however, splenectomy or splenic-conserving surgery may not be avoided because of exsanguinating hemorrh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plenic arterial embolization (SAE) to control hemorrhage from injured spleens in children. We compared the outcomes of two groups of children with splenic injury. The first group (G1) consisted of eighteen children who were managed with conventional selective nonoperative treatment between 1993 and 1994. The second group (G2) consisted of 23 children prospectively studied from 1996 to 1997 after SAE was added in the management protocol of splenic injury. The criteria for SAE were grade III or IV injury, extravasation of contrast material revealed by CT, or unstable vital signs without evidence of associated injuries. Laparotomy was performed in 6 patients of G1 (33.3 %), 2 of whom had associated injuries. Five underwent splenectomy and the overall salvage rate in G1 was 72.2 % (13/18). In G2, eight patients (34.8 %) had SAE, which stopped bleeding successfully in all patients. Two of G2 (8.7 %) had laparotomy because of associated injuries. Only one patient underwent splenectomy and the salvage rate was 95.6 % (22/23). No patients required transfusion after SAE. In conclusion, the SAE effectively controlled hemorrhage from injured spleens. More spleens were salvaged with a reduced laparotomy rate after application of SAE in splenic inju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