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ing Understanding of Acid and Base Concepts of the 3r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산 · 염기 개념 이해조사

  • Kang, Soon He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Cho, Sung Ah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 조성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Published : 19991200

Abstract

This article studies the understanding of acid and base concepts of the 3r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improving their acid and base concepts was designed by considering students' prior knowledge using Lawson's learning cycle method. The control group was adapted by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which isn't considering students' prior knowledge. After the class, understanding of acid and base concepts of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strong acid, weak acid strong base and the strength of acid in aqueous solution was low even after the class of two groups. This indicates indirectly that the microscopic views of acid and base concepts in aqueous solution are not easy to learn for these students. For the four categories of acid and base concepts, students' responses were reviewed carefully and classified into scientific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of acid and base concepts.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산${\cdot}$염기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중학교 학생들의 산${\cdot}$염기 개념에 대한 사전 지식을 고려하여 순환학습 모형을 기초로 한 학습 전략을 개발한 후 실험반에 투입하였다. 비교반에는 오개념을 고려하지 않은 전통적 수업 전략을 사용하였다. 실험반과 비교반에 대한 사전, 사후 개념 검사 문항을 분석한 결과 실험반이 비교반에 비해 수업 처치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 후에도 강산, 약산, 강염기, 산의 세기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성춰도는 두 그룹 모두 별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시적 관점의 산${\cdot}$염기 개념은 중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두 집단간의 수업 전${\cdot}$후에 나타나는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강산, 약산, 강염기, 산의 세기의 네 범주로 분류하여 범주별로 과학자적 유형과 오개념 유형을 자세하게 논의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산${\cdot}$염기 개념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수업 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Gabel, D.L.
  2. 한국교육학회지 v.12 no.2 김화숙
  3. 한국교육학회지 v.13 no.1 김대식;박인근;성은모;국동식;손영철;노승호;김하기
  4. International Jouranl of Science Education v.13 Ross, B.;Mundy, H.
  5.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13 no.4 Schmidt, H.
  6.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두원
  7.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8 Cros, D.;Maurin, M.;Amouroux, R.;Chastrette, M.;Laber, J.;Fayal, M.
  8. 초등교육 자연 5-2 교육부
  9. 초등학교 실험관찰 5-2 교육부
  10. 중학교 과학 3 강영희;조완규;권숙일;나일성;소현수;조희구;이민호;윤길수;하효명;서평웅;김종권;이영만;목창수
  11. 고등학교 공통과학 강만식;정창희;이원식;홍승수;이창진;장영기;윤용
  12. 고등학교 화학 Ⅰ 소현수;윤길수;이영만;허성일;김용원
  13. 고등학교 화학Ⅱ 소현수;윤길수;이영만;허성일;김용원
  14. 제 7차 과학교육과정 1997-15호 v.15 교육부 고시제
  15. 학술진흥재단 자유공모과제 연구 보고서 강순희;박종윤
  16. 중학교 과학 3 유규환;홍종배;안태인;권병두;진황운;손영진;이팽윤;전성용
  17. Chemistry-A Critical Thinking Approach Arizona State University Lawson, A.E.;Birk,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