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oice of Proper Region for Moving Cage Culture Facilities

이동식 가두리 양식장의 이동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

  • 조규대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박성은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고우진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 Published : 1999.02.01

Abstract

A Study on the choice of proper region for moving cage culture facilities were carried out in the South Sea of Korea. Optimum temperatures of habitats for cage culture fishes, Sebastes schlegeli, Paralichthys olivaceus, Seriola quinqueradiata, Lateolabrax japonicus, Pagrus major, Takifugu vermicularis, and Mugil cephalus were 18~26$^{\circ}C$, 10~$25^{\circ}C$, 15~29$^{\circ}C$, 15~29$^{\circ}C$, 15~3$0^{\circ}C$, 15~$25^{\circ}C$, and 19~27$^{\circ}C$, respectively. In winter, wintering regions for continuous growth of fishes were proper around Komundo, Sorido, Soimal, Gadukdo and Chejudo for Paralichthys olivaceus and Lateolabrax japonicus, while Seoguipo and Udo for Seriola quinqueradiata, Pagrus major and Takifugu vermicularis. Sanji was not proper for wintering region because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is large by effect of strong northwestern wind. Wintering regions of Sebastes schlegeli and Mugil cephalus were not in the south of Korea. In summer, proper regions for fishes to avoid from damage by red tide were Komundo and around Chejudo. No red tide has occurred in these regions for 6 years. Mokpo and Yoja Bay were not proper for moving region because the former had strong tides and the latter had only one exit out of the bay which made it impossible to move cages in other route when dangerous red tides burst into.

본 연구에서는 동계에 양식어류의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시키기 위한 월동장으로서, 하계에 적조발생 해역으로부터의 대피장소로서 이동 가능한 적지를 수산물리 해양학적으로 선정 하고자 하였다. 동계에 월동장으로서는 서식적수온이 $10^{\circ}C$ 이상인 어종(넙치, 농어) 경우 거문도, 서이말, 가덕도, 그리고 제주도 주변해역이 적합하였으며, 15$^{\circ}C$ 이상인 어종(방어, 참돔, 복어)은 서귀포와 우도(성산포)에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는 동계에 강한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지역으로 표면수온의 변화가 심하여 월동장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서식적수온이 각각 18$^{\circ}C$와 19$^{\circ}C$ 이상인 조피볼락과 숭어의 경우에는 성장을 지속시키며 월동할 수 있는 적지를 남해안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 용존산소의 경우 동계와 하계 모두 전 해역에서 해양생물의 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4$m\ell$/$\ell$이상의 농도를 나타내어 양식어류의 이동시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계에 적조발생 해역으로부터 양식생물을 대피시키기 위한 이동적지로서는 지난 6년 간 적조가 발생하지 않았고, 만일의 경우 적조가 발생하더라도 인근해역으로 대피가 자유로운 거문도와 제주도 주변해역이 적합하였다. 목포주변해역은 조류가 세고, 여자만은 적조발생 시 대피시킬 수 있는 통로가 없어 이동적지로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양식공학 이동식 가두리 조규대
  2. 韓國 沿岸의 赤潮(1990~1996) 국립수산진흥원
  3. 제5회 국내학술발표회 초록집 한국형 이동식 가두리 양식 시스템의 개념설계 조규대;조상래;김상봉;김성근
  4. 한국어업기술학회지 v.31 이동식 가두리 개발에 관한 연구 홍봉기;김인철
  5. 水産生物適水溫度 日本水産資源保護協會
  6. 남해안의 적조발생 현황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7. 남해안 어류양식 어업권 현황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8. 어류양식지도 상황보고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9. 원색 한국 어류도감 김익수;강언종
  10. 양식공학. 총론 조재윤
  11. Rapp. ICES v.131 An evaluation of our knowledge of fish behavior in relation to hydrography Bull, H.O.
  12. In Fisheries Oceanography and Ecology Laevatu;M.L. Hayes
  13. 恒星社厚生. 水産學全集 v.13 新版魚類生理生態學 川本信之
  14. 한국수산학회지 v.23 no.4 한반도 근해의 해류와 해수특성 나정열;한상규;조규대
  15. 한국해양학회지 v.6 no.1 한국 남해연안 전선에 관한 연구 공영
  16. 한국환경과학회지 v.3 no.2 한국 남해연안의 해표면 수온분포와 천해전선의 변동특성 양성기
  17. J. Oceanol. Soc. Korea v.19 no.1 Thermohaline structure of the shelf front in the Korea Strait in early winter Lee, J.C.;J.Y. Na;S.D. Chang
  18. Seawater analysis method: Dissolved oxyten progress report to U. S. Office of Naval Research. Inst. Mar. Sci. Wallen, D.D.;D.W. Hood
  19. 海洋硏究ノ-ト v.26 no.2 シンポジウム貧酸素水塊のまとめ 柳哲雄
  20. Korean and French Seminar on red tide Recent approches on red tides Park, J.S.;H.G. Kim
  21. Harmful Marine Algal Blooms Toxious dinoflagellate bloom of an undescribed species of Gyrodinium in Chungmu coastal waters, Korea Kim, H.G.;J.S. Park;Y. Fukuyo;H. Takayama;K.H. An;J.M. Shim;P. Lassus(ed.);G. Arzul(ed.);E. Erard(ed.);P. Gentien(ed.);C. Marcaillou(ed.)
  22. 제5회 국내학술발표회 초록집 유해유독 적조생물 발생과 독성 생산에 관한 연구 김창훈
  23. Japan v.31 no.1 大阪灣に出現する赤潮鞭毛藻 6種の增殖に及ぼす水溫の影響 Japan 失特 進
  24. Plankton Soc. Japan v.31 no.2 阪灣に出現する赤潮鞭毛藻 Prorocentrum micans. Eutreptiella sp.およびChattonella marinaの增殖制限榮養因子のついて 失特 進
  25. 국립수산 진흥원 연구보고 v.48 한국 남해연안 해역에서 출현하는 유독편모조류의 분류 이상근;박주석;김학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