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트러스 토마토 생산시스템의 국내 적용을 위한 생산성 분석

Productivity Analysis of Single Truss Tomato Production System for Korean Locations

  • ;
  • 이석건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 이현우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K. C. Ting (Rutgers University, USA) ;
  • ;
  • 발행 : 1999.09.01

초록

싱글트러스토마토시스템을 국내에 도입하여 효율적으로 생산관리를 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모델을 이용하여 지역별로 수확량, 수확시기를 예측하고 효율적인 생산관리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전지역이 겨울철에 최대수확 가능량을 달성하는데는 광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인공광을 이용한 생산량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원지역과 진주지역의 연간 총 수확량의 차이가 12kg.m$^{-2}$ 으로 나타나 토마토 온실의 설치 계획시 지역의 자연광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역과 계절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인공광을 이용하여 수확시기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광의 이용에는 많은 경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인공광의 용량을 지역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과 저렴한 심야전기를 가능하면 많이 이용할 수 있는 인공광의 제어전략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omato yield and harvest date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productivity of Single Truss Tomato Production System(STTPS) for four regions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solar radiation was not sufficient to get the maximum tomato yield during the low light seasons. The difference of total annual yield between Suwon and Jinju regions was about 12kg.m$^{-2}$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l ligh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yield. The availability of natural light should be considered in deciding the locations of tomato greenhouses. The harvest date could be adjusted by using supplemental light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strategies are required for reducing electricity expen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