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디자인학연구)
- Volume 12 Issue 2
- /
- Pages.157-168
- /
- 1999
- /
- 1226-8046(pISSN)
- /
- 2288-2987(eISSN)
A study on small stone crafts in the Cho Sun Dynasty
조선조시대 소품 석공예에 관한 연구
Abstract
Stone in the Cho Sun Dynasty has been used as the material of industry arts, widely building materials and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artistic design. But it has been generally used as an use of practical living Product like, suban, a metal printing type, a fire place, a pillowcase, a pencil case, etc, and ornament with the quality of stone material and the aesthetic view. There are several problems as like size, quantity, delivery and processing method with the stne material according to its variety and selection. Accordingly it has been studied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shape, a material selection of design and processing method as well as studying about small stone crafts which were manufactured in the Cho Sun Dynasty, considering these problems. Stone crafts in Cho Sun Dynasty has been widely used as a living tool. There was some what difference on manufacturing purpose on its technique of folk crafts of stone crafts, but, through the research of collected crafts, they were almost the same that social need, user's taste and hobby in those days were reflected in. In the result of analysis as dividing the stone crafts into daily living product, stationery and tool, the major of daily products have been manufactured with emphasis of practicability. And they have been manufactured from agalmatolite for the propose of use. further, kitchen product had no design due to the function and living products which has been used in the main living room has been carved with the decorative expression of the various form by using intaglic, relieve, inlaid technique, etc. For the stationery, it has been characterized with aesthetic point considering the decorative effects & selec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use.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has been used in the range of agalmtolite, atopaz, a sapphire, white stone etc.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noticeable that there was the spleudidness on the expression of design and carving. It was also noticeable that black stone and guanite have been widely esed because it didn't need the delicacy as a tool.
조선조시대의 석재는 공예품 재료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건축재로서도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의장재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석재 특유의 재질감과 미적 관점으로서 수반, 주자, 화로, 베겟모, 필통 등 실용적인 생활용품과 장식품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석재는 다양한 재료와 선택에 따라서 크기, 수량, 운반, 가공방법의 제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문제를 고려하여 제작되어 온 조선조시대의 소품 석공예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그치지 않고 형태와 문양, 재료의 선택 및 가공방법 등 전과정에 걸쳐 연구하고자 하였다. 조선조시대의 석공예품은 생활도구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중요한 일면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들 석공예품의 민예품은 제작목적이나 제작기술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그 당시의 사회적 요구와 사용자의 기호, 취미가 형태와 문양에 반영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커다란 차이가 없었음을 수집된 관련 작품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석공예품을 일상생활용품, 문방용품, 도구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본 결과 일상용품의 대부분이 실용성을 강조하여 제작되었으며, 사용상의 특성을 살리어 불에 강한 납석재로 제작되었다. 더욱이 부엌에서 사용되었던 주방용품은 무문으로서 기능성을 고려하였고, 안방에서 사용되었던 생활용품은 다양한 형식의 장식적 표현을 음각, 양각, 투각, 상감기법 등으로 조각하여 사용된 점이 특징이었다. 문방용품에 있어서는 장식적 효과와 용도에 따른 재료의 선정 등 심미성을 강조하여 표현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작사용 된 재료는 납석, 황옥, 청옥, 백석 등 다양한 재료의 선정으로 고루 분포되었다. 문양과 조각의 표현에 있어서도 장식적인 화려함을 엿볼 수 있었다. 도구에서는 섬세함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오석, 화강석 등이 널리 쓰여서 용도상의 특성을 살리어 제작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