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기호로서의 눈(眼)의 표정에 관한 연구 - 관상학적 담론에 근거한 얼굴형과 구조를 중심으로 -

  • 오근재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조형학부 광고디전공)
  • Published : 1999.02.01

Abstract

The eyeS of human beings are the very interesting objects of research, which were believed to do deliver any meanings without direct words and also to represent best description of key characteristics of humans than any other parts in the body. With respect to this hypothesis on eyes, the study of various expressions of eyes is the fascinating research topic in the area of optical design which is deeply connected to the figurative images. Traditionally, physiognomy was settled by many Koreans to become one of the branches of discourses. Physiognomy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statistical summaries of life patterns of various kinds 'of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systematical analysis.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the image of eyes which were thought to be the most important sign emitted from the body of human beings. Furthermore,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a practical usage from the research results if above relationship was showed to be true. It was unveiled that the considerable clos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with small errors and that eye's image was compensated and enhanced with the help of lip's image to obtain more perfect imag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rationales of phtsiognomy could assist to choose figures as a figurative image. (Keyword)

인물이 가지고 있는 눈은 신체의 어떤 부위보다 풍부한 언어를 전달하거나 인물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관찰 대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물이 가지고 있는 뛰어난 표정 물이라고 말할 수 있는 눈에 대한 표정연구는 영상기호를 효과적으로 구사해야하는 디자인에서 가장 관심 있는 연구대상이 아닐 수 없다. 한편 한국인은 전래적으로 관상학이라고 하는 담론을 가지고 있다. 상학은 수많은 사람들의 삶의 패턴을 통해 통계적으로 정리되었고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된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오늘날의 소비자들도 상당 정도 믿고 있는 듯하다.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인물의 표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는 눈의 표정을 상학적 담론을 근거로 하여 이것이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이미지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관계가 있다면 구체적인 활용에 대한 어떤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는가를 알아내기 위해 연구되었다. 연구결과는 극히 일부분의 이미지만이 상치될 뿐, 상당정도 밀착된 관계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눈의 표정은 입의 표정이 보정될 때 진정한 이미지가 형성된다는 사실도 발견되었다. 영상기호로서의 인물을 선택할 때 상학적 관점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