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rritorialization and Boundary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전통주거의 영역화와 경계에 관한 연구

  • 정영철 (경일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1999.11.01

Abstract

Korean Traditional Houses had been composed of several territory. Sarang-Chae was territorialized from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d the sexual discrimination of Confucianism. The territory of ancestral shrine was formed with the filial duty of Confucianism.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the visible, material boundary and invisible, symbolic boundary which is repeated into the inner space. Korean Traditional Houses are appreciated as the enclosed territory which the sacred inner space of the house is in opposition with the profane outer sp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house has hierarchical boundary by the hierarchy of the house god.

Keywords

References

  1. 대우학술통서,인문사회학 29 한국의 주거민속지 김광언
  2.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조선시대 중기 이후 반가의 공간사용과 평면 형식에 미친 가례의 영향 김기주
  3. 한국문화사대계 v.Ⅳ 한국주거사 김정기
  4. 홍익대박사학위논문 영남지방 동족 마을의 분파형태와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박명덕
  5. 청계사학 3 조선초기 주자학의 보급과 여성의 사회적 지위 이순구
  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 no.5 한국유교건축의 敬의 공간에 관한 연구 이왕기
  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6 no.6 영역성에 의한 건축공간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이재훈;김진균
  8.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조선전기 주택사 연구-가사규제 및 온돌에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이호열
  9. 한국주택건축 주남철
  10. 한국의 사회와 종교 최길성
  11. 정신문화연구 '84 여름호 조선시대 선비들의 유형과 행위유형-가묘,문묘,종묘의 분석을 통해서 崔鳳求
  12. 한국문화사대계 v.Ⅳ 한국가족제도사 최재석
  13. 조선전기 사회경제 연구 한영우
  14. 조선조 종교사회사 연구 黃善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