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한국측량학회지)
- Volume 17 Issue 1
- /
- Pages.21-32
- /
- 1999
- /
- 1598-4850(pISSN)
- /
- 2288-260X(eISSN)
Accuracy of Combined Block Adjustment with GPS-Permanentstation
GPS 연속관측점을 이용한 결합블럭조정의 정확도
Abstract
Mapping and precise point determination by photogrammetry have been shown to be an economic solution. But control point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lthough the number of required control points has been reduced based on extended bundle adjustment and reinforced cross-strip, the ground survey is a significant factor of whole expenses in photogrammetry. The status of GPS-photogrammetry with kinematic DGPS-positioning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s, is now steadly progressive since the first possibility has been proved. The completed satellite configuration, powerful receiver function and upgraded software for kinematic DGPS-positioning have extensively improved the accuracy of combined bundle adjustment. So the research for the operational use of GPS-photogrammetry is absolutely necessary. The presented test field was designed for identification of subsidences in a coal mining area, flown with 60% sidelap and cross strips. Just with 6 control points and combined block adjustment instead of the traditionally used 21 horizontal and 81 vertical control points the same ground accuracy has been reached. The accuracy of kinematic GPS-positioning and combined block adjustment was independent upon the distance of the ground reference station. It also has been showed that the special model for the systematic error correction in the combined block adjustment.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지도제작과 미지점의 정확한 위치결정은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나 외부표정요소를 구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이 필요하다. 번들조정기법의 성능향상과 횡스트립의 설치로 블럭조정에 요구되어지는 기준점의수가 감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점 측량은 비용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된 동적 DGPS-위치결정에 의한 GPS-항측은 처음 가능성을 보인 이래 계속 발전되어 오고 있다. 위성배치의 완료, 수신기의 기능 향상 및 동적 DGPS-위치결정을 위한 S/W의 향상 등으로 결합블럭조정의 정확도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GPS-항측의 실용화에 대한 연구가 보다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60%의 횡중복도와 횡스트립으로 촬영하여 광산지역의 지반침하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단지 6개의 기준점만을 사용한 결합블럭조정으로도 21개의 수평기준점과 81개의 연직기준점을 사용한 재래식 블럭조정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GPS에 의한 노출점의 위치와 블록조정의 정확도는 지상 수신기준점의 거리와는 무관하였으며 결합블럭조정시 정오차 소거를 위한 특별한 모형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