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Deukryang Bay, Southwestern Korea

득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he observations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seasonal fluctu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carried out in Deukryang Bay of the Korean Southwestern Sea from June 1992 to April 1993. A total of 75 species of phytoplankton belonged to 47 genera was identified. In Deukryang Bay seasonal succession in dominant species; P. alata, G. flaccida, S. costatum, L. danicus and N. longissima in summer, St. palmeriana, Ch. curvisetus and B. paxillifera in autunm, S. costatum, Ch. curvisetus, E. zodiacus and Pn. pungens in winter, and As. glacialis, As. kariana, N. pelagica, Th. nitzschioides and S. costatum in spring, were very marked, that is to say, the communities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Deukryang Bay appeared to be various species composition and it was occupied with diatoms all the year rou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fluctuated with an annual mean of $1.4{\times}10^5 cells/1 between the lowest value of 2.6{\times}10^3 cells/1 in July and the highest value of 1.0{\times}10^6 cells/1$ by S. costatum in January. Densities of the phytoplankton cell number by the samples of Deukryang Bay ranged from $2.6{\times}10^3cells/1 to 1.2{\times}10^5 cells/1 with the mean value of 3.6{\times}10^4cells/1 in summer, from 6.0{\times}10^3cells/1 to 2.6{\times}10^5 cells/1 with mean of 1.5{\times}10^5 cells/1 in autumn, from 1.3{\times}10^4cells/1 to 1.0{\times}10^6 cells/1 with mean 3.5{times}10^5 cells/1 in winter, and from 4.8{\times}10^3cells/1 to 6.0{\times}10^5 cells/1 with mean of 1.6{\times}10^5 cells/1$ in autumn. That is to say,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was large in low temperature seasons, on the other hand small in high temperature seasons.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 fluctuated between 0.l9 $\mu$g/l and 12.3 $\mu$g/l in March. in Deukryang Bay seasonal flucturation in chi-$\alpha$ concentration was not marked. Especially, chl-$\alpha$ concentration in the water around Deukryang Island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Deukryang Bay showed patchy distributions with a very high concentration. And chl-$\alpha$ concentration was high during a year. Therefore, phytoplankton production in Deukryang Bay could be very high year-round.

득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2년 6월부터 1993년 4월까지 만내 38개의 관측점을 대상으로 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득량만에서 출현이 확인된 식물플랑크톤 종은 식물성 편모조류 33종을 포함 50속 75종이 동정되었다. 계절별로는 여름과 가을에 비교적 다양한 종이 출현을 보이고 있는 반면, 봄과 겨울에 단순한 종 출현 특성을 나타내었다. 우점종은 연간 규조류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여름에 P. alata, G. flaccida, S. costatum, L. danicus와 Pn. longissima, 가을에 St. pulmeriana, Ch. curvisetus와 B. puxillifera, 겨울에 S. costatum, Ch. curvisetus, E. zodiacus와 Pn. pungens, 그리고 봄에 As. glacialis, As. kariana, N. pelagica, Th. nitzschioides.와 S. costatun에 의해 우점되어, 비교적 계절적으로 뚜렷한 우점종 천이가 보여졌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6$\times$$10^3$cells/1에서 $1.0{\times}10^6cells/l$의 범위로 변동하고 있으며, 저수온기에 높고, 고수온기에 낮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공간적 분포 차는 해역에 따라 수온 차가 심한 여름과 겨울에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해역 특성에 의해 단기적인 변동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만, 최고 높은 현존량은 S. costatum의 1종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Chlorophyll $\alpha$농도는 0.19$\mu$g/1에서 12.3$\mu$g/1범위로 변동하여, 8월, 9월 및 3월에 높고, 7월에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뚜렷한 계절적 변화양상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해역별로 큰 차를 나타내, 시간적인 농도 차보다 공간적 분포 차가 더욱 크고, 저층이 표층보다 높은 생물량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만 중앙부인 득량도 인근해역에서는 해수유동 결과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고농도의 소규모적인 불균일 분포 특성도 강하게 나타났다. 해역적으로는 수심의 얕은 북서 연안해역에서 비교적 높은 생물량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고흥반도 연안과 수로부 등 비교적 수심이 깊은 만의 동남 해역에서 낮은 생물량을 나타내고 있는 특성으로 연중 높은 생물량을 나타내고 있어, 득량만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높은 생물생산이 연중 유지되고 있는 해역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v.6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로 본 초겨울 한국 남서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김대일;윤양호
  2. 한국환경과학회지 v.7 득량만 퇴적물로부터 영양염 용출 평가 김도희;박청길
  3. 한국수산학회지 v.28 1992-93년 하계 득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김상우;조규대;노흥길;이재철;김상현;신상일
  4. 한국수산학회지 v.28 득량만의 저서동물 분포 마채우;홍성윤;임현식
  5. 한국해양학회지 v.26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문창호;최혜지
  6. 한국해양학회지 v.24 천수만 일차생산자의 생물량-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개체수 및 클로로필과의 관계 심재형;신윤근
  7. 한국해양학회지 v.26 만경,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환경과 일차생산자 1.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심재형;신윤근;여환구
  8. 한국해양학회지 v.19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심재형;신윤근;이원호
  9. 한국해양학회지 v.16 여수 근해의 쌍편모조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심재형;신은영;최중기
  10. 한국해양학회지 v.27 한국 동해 남부해역의 일차생산계 1. 생물량과 생산력 심재형;여환구;박종규
  11. 한국수산학회지 v.28 득량만 표층수중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1. 영양염류의 계절변화와 기초생산제한인자 양한섭;김성수;김규범
  12. 한국해양학회지 v.11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연변화 유광일;이종화
  13.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연구보고 v.14 제주도 북방, 함덕연안해역에 있어서 춘·하계 식물성 무각편모조류의 동태 윤양호;노홍길;김영기
  14.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연구보고 v.16 제주북방, 함덕연안해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윤양호;노홍길;김영기
  15. The Report of the KACN v.32 금오열도 연안해역의 하계 미세조류(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 윤양호;고남표
  16. 한국양식학회지 v.8 거금수도내 양식어장의 해양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윤양호;고남표
  17.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v.4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군집의 변동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동태와 적조원인생물 윤양호
  18. 여수대학교 논문집 v.12 완도 신지도 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윤양호
  19.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v.7 가막만 남부 화태 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윤양호
  20.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시아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윤양호
  21. 한국수산학회지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특성 1.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동과 분포특성 윤양호
  22. 한국수산학회지 v.28 1992년 하계 득량만 서부해역의 조류 특성 이재철;노홍길;조규대;신상일;김상우;김상현
  23. Bulletin of KORDI v.5 득량만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과 적조발생에 관한 연구 이진환;허형택
  24. 한국수산학회지 v.27 득량만의 해수유동에 관한 수치실험 1. $M_2$에 의한 해수유동 정은진;홍철훈;이병걸;조규대
  25. 한국환경과학회지 v.6 여름철 득량만의 열속과 관련한 성층 최용규;홍성근
  26. 행정간행물 12000-67440-97-9615 해양오염방지 5개녕 계획 통상산업부;환경부;건설교통부;과학기술처;경찰청;수산청;해운항만청, 기상청
  27. 한국수산학회지 v.28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한동훈;홍성윤;마채우
  28. 沿岸環境マニュアル(底質·生物 編) 植物プランクトンの調査-試料 採取, 固定, 濃縮, 計數, 同定 飯塚昭二
  29. Bull. Korean Fish. Soc. v.15 Eutrophication of shellfish farms in Deukryang and Gamagyang Bays Cho CH;KY Park;Hs Yang;JS Hong
  30. Journal of Marine Research v.1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marine diatom, Sreletonema costatum (Grev.) Cleve Curl HJ;GC Mcleod
  31. J. mar. biol. Ass. U. K. v.66 A check-list of the freshwater, brackish and marine diatoms of the British Isles and adjoining coastal waters Hartley B
  32. J. Cons. Int. Explor. Mer. v.27 The life histories of plankton animals and seasonal cycles of plankton communities in the ocean Heinrich AK
  33. Limnology and Oceanography v.22 The important of light in the initiation of 1972-1973 winter-spring diatom bloom in Narragansett Bay Hitchcock GL;TJ Smayda
  34. Bull. Korean Fish. Soc. v.30 The response of temperature and velocity fields the $M_2$ tide in Deukryang Ba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Hong CH;YK Choi
  35. Bull. Plankton Soc. Japan v.32 The results of a survey of maximum densities in cell number of phytoplankton in coastal waters of Japan IIzuka S
  36. Marine Biology v.67 Fractionated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on in Baltic eutrophication gradient Larsson U;A Hagatrom
  37. Ph. D. thesi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A study of physical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of Deukryang Bay using numerical and analytical models in summer Lee BG
  38. Korea. Korean Environmental Sci. Soc. v.4 Temporal variations of stratification-destratification in the Deukryang Bay Lee BG;KD Cho
  39. J. Oceanogr. Soc. Japan v.44 Seasonal change in size-fractionated primary production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temperate neritic water of Funka Bay, Japan Maita Y;T Odate
  40. Marine biology-An ecological approach(3rd edition) Nybakken JW
  41. J. mar. biol. Ass. U. K. v.56 Check-list of British marine algae. Third revision Parke M;PS Dixon
  42. Limnology and Oceanography v.2 The winter-spring diatom flowering in Narragansett Bay Pratt DM
  43.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sea-water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SCOR-Unesco
  44. J. Oceanol. Soc. Korea v.19 Co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early summer Shim, JH;YC Park
  45. Linnology and Oceanography v.16 The horizontal-vertical distribution hypothesis: langmuir circulation and Daphnia distribution Staven RH
  46. Phytoplankton manual Preservation and storage Throndsen J;Sournia MA(ed)
  4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Tomas CR
  48. Bull. Seirai Reg. Fish. Res. Lab. v.10 Studies on the explosive multiplication of plankton and its subsequent phenomena Tsujita T
  49. Bull. Nansei Nat'l Fish. Res. Inst. v.29 Size frationate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Osaka Bay, Eastern Seto Inland Sea, Japan Yamaguchi M;I Im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