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on Mt. Paekun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

  • 이호준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배병호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학과) ;
  • 정흥락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전영문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홍문표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floristic composition and soil environmental conditions was investigated i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Paekun. The forest vegetation unit of Mt. Paekun was divided into six plant communities by Zurich-Montpellier method, such as Quercus mongelica 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Rhododendron schlippenbaohii sub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Larix Eeptolepis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distributed at the altitude over 500 meter,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communities appeared on the southwestern slope at the altitudes of 600 ~ 700 m and 290 ~ 700 m. However, L. leptolepis and P. koraiensis plantation were distributed at lower altitude, on hillside or around homestead. The DBH class distribution of dominant species in each community showed that Q. mongolica had 10.9 individuals/a at 6~10 cm class, Q. variabilis 2.5 individuals/a at 11~15 cm class, P. densiflora 1.8 individuals/a at 26~30 cm class, F. rhynchophylla 3.3 individuals/a at 2~5 cm class, and L. leptolepis 5.9 individuals/a at 11~ 15 cm class.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communities showed a stable bell-shaped pattern of distribution.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s and soil water,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of the soil increased, and the pH decreased as the altitude gets higher increased altitude at the each communities. The contents of the soil water and organic matters of the forest soil collected in Q. mongolica community were in the 17.81% to 51.20% and 5.51% to 14.90%, respectively. These tendency is similar to the contents of N, P and K, but those of Ca, Mg, and CEC was lower than in other communities.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suspected to be correlated to the pH. The hypothetical successional sere of the forest vegetation of Mt. Paekun is as follows: Pinus densiflora community longrightarrowQ. variabilis community longrightarrowQ. mongolica community.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에 의하여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각 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밝혔으며, 토양환경을 조사하였다.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 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 4개의 자연군락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등 2개의 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식생의 계층구조는 매우 발달한 편으로 신갈 나무군락은 백운산의 거의 전역에 걸쳐 표고 500m이상부터 분포하고, 굴참나무군락은 주로 남동-남서 사면의 고도 325~700 m, 소나무군락은 표고 290~700 m, 물푸레나무군락은 표고 600 m 이상의 계곡 주연부에 주로 분포하였다. DBH분포는 신갈나무가 6~10cm급, 굴참나무가 11~15cm급, 소나무가 26~30 cm급, 물푸레나무가 2~5 cm급, 일본잎갈나무가 11~15 cm급, 잣나무가 11~15 cm급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양환경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며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토양함수량은 17.81~51.20%, 16.24~25.41%, 16.17%, 19.16~39.26%로 각각 나타나 신갈나무군락의 토양함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신갈나무군락의 유기물함량은 5.51~14.90%로 다른 군락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N, P, K에서도 유사하였으나 Ca, Mg, CEC는 다른 군락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양이온치환능과 pH는 $Y_{CEC}$=15.855X$_{ph}$ -56.037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백운산의 대부분의 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신갈나무림은 2차림으로써 인위적인 방해로부터 점차 식생이 회복되고 있으며 소나무림-굴참나무림-신갈나무림으로의 천이경로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생태학회지 v.10 칠갑산의 식생 고재기;임양재
  2. 기상연보 기상철
  3. 한국생태학회지 v.14 잣나무의 천영화학물질이 다른 식물에 미치는 독성작용 길봉섭;김두영;김영식;이승엽
  4.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v.37 방태산 남사면 일대의 식생 길봉섭;김창환;김영식;유현경
  5. 한국생태학회지 v.20 광릉 삼림군집내 주요 수종의 직경계급분포에 관하여 김윤동
  6. 한국자연보존협외연구보고서 v.1 보존의 모델로서 자연적 혹은 반자연림의 구조와 동태에 관한 수량적 연구 김준민
  7. 한국생태학회지 v.8 관악산의 남사면과 북사면의 식피의 비교연구 김준민;김석준
  8. 한국생활과학연구원 v.4 송백림토양의 최소양분수준에 관한 통계학적 연구 김준민;박봉규;장남기
  9. 한국생태학회지 v.8 관악산의 고도에 따른 진달래와 철쭉꽃의 개화와 개엽시기 김준호;유병태
  10. 덕유산 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구조와 2차천이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김창환
  11. 한국생태학회지 v.21 오대산 삼림식생의 패턴과 천이계열 변두원;이호준;김창호
  12. 간이산림토양도 산림자연원구소
  13. 한국임학회지 v.54 한국의 삼림토양에 관한 연구(II.) 이수욱
  14. 한국식물학회지 v.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이우철;임양재
  15. 한국생태학회지 v.18 모후산 삼림식색과 토양환경 이호준;김종홍;강재구;전영문;배병호
  16. 한국생태학회지 v.14 검단산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이호준;김하송;조은부
  17. 한국생태학회지 v.16 가야산 삼림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이호준;변두원;김원식;이재석;김창호
  18. 한국생태학회지 v.17 명지산 신갈나무림의 군락분류와 식생패턴 이호준;이재석;변두원
  19. 한국생태학회지 v.18 청량산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및 종간연관 분석 이호준;정흥락;배병호
  20. 한국생태학회지 v.16 일월산의 삼림식생 분석 이호준;정흥락;변두원;김창호
  21. 서원대학교 기초과학논문집 v.5 단양 석회암지대의 토양특성 및 식물상 조사 이희선
  22. 지리산의 식생 임양재;김정언
  23. 설악산의 식생 임양재;백순달
  24.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v.28 가야산국립공원의 식생 임양재;양원열;김종근;방제용
  25.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경기도 백운산의 식생 임양재;임문교
  26. 성균관대학교논문집 v.10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소론 정태현;이우철
  27. 대구 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정흥락
  28. '94자연생태계 지역정밀조사보고서-포천·광덕산- 환경부
  29.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1997). 포천·철원(4-5)의 자연환경 환경부
  30. 日本松林の生態學的 硏究 吉岡邦二
  31. 土壤診斷の方法と活用 藤原俊六良;安西哲良;加藤哲良
  32. 群落の遷移とその機構 沼田 眞
  33. Hiokbia v.10 韓國の針廣混交林にする植物社會學的硏究 宋鍾碩
  34. 植生調査法II;植物 社會學的 硏究法 鈴木兵二;伊勝水三;豊原源太郞
  35. 林野試驗時報 v.5 竹內
  36. 金剛山 植物調査報告書 v.7 中井猛之進
  37. 花粉分析 中村 純
  38. Pflanzensoziologie, 3. Braun-Blanquet J
  39. Biometrik v.63 A conditioned distance ratio method for analyzing spatial paterns Cox TF;T Lewis
  40. Korean J. Ecol. v.10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Kim JU;YJ Yim
  41. Korean J.Bot. v.31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Kim JU;YJ Yim
  42. Korean J. Bot. v.31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es of forest vegetation of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Kim JU;YJ Yim
  43. Ph. D. Thesis, Wien University Vegeration of northease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Kim JW
  44. Analysis of ecological systems Quantitative plant ecology Miller PC;Horn DJ(et al. eds.)
  45.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Mueller-Dombois D;H Ellenberg
  46. J. Ecol. v.52 no.Suppl. The distribution of some woodand herbs in relation to the supply of nitrogen and phosporus in the soil Pigott CD;K Taylor
  47. Ecology v.65 Plant dominance along an experimental nutrient gradient Tilaman D
  48. Biological Reviews v.42 Gradient analysis of vegetation Whittaker R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