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New Generation Women's Culture : Women’s Culture

신세대여성들의 화장경험을 통해 본 여성문화 드러내기와 그 저항성에 관한 연구

  • 이현주 (서라벌대학 피부미용과 겸임교수)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The history of make-up can go back to the beginning of human being and it can’t be separated from women’s life. The change of history and women's position have given make-up different form and meanings. So make-up becomes another text which can read social·cultural specialty. This study has tried to find out make-up as women culture for women have experienced make-up in a specific situation for a long time and a suit of make-up experience from self-retrospect and made an open channel for women and this paper checked out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make-up culture. This research used new audience theory of cultural studies which is used for communication study and studied active meaning-construction process and its resistance pleasure. This study saw women as independent subjects not passive victims and how make-up has been different meanings in women’s life. And what pleasure is made and how the way of resistance made constructed in the regulation of make-up.

지금까지 화장에 관한 연구가 화장술의 방법이나 표현 형태에 따른 시대적인 변천 혹은 성분 제조상의 과학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면 이연구는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화장의 역사성을 읽음으로써 화장을 하나의 학문적인 영역으로 승화시키고자하는 시도의 글이다. 화장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더욱이 여성의 삶과는 불가분의 관계를 띠고 있다. 역사적인 변화와 여성의 지위 변화에 따라서 유행과 그 의미를 달리하여왔으며 사회·문화적인 특수성을 읽을 수 있는 하나의 텍스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랫동안 여성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해온 ‘화장’을 여성문화로서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분석틀로써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주요 이론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화이론의 신수용자 개념을 사용하여 주체적 의미 생성 과정과 의미생산. 그리고 그 과정에서 파생되는 즐거움과 저항의 가능성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여성을 수동적인 희생자가 아닌 능동적인 수용 주체로 보고 그 여성들의 삶 속에서 화장의 의미가 어떻게 다르게 규정되는지, 그 속에서 생성되는 즐거움의 기제가 무엇인지 주체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규정되는 화장의 규범 속에서 저항의 방식이 어떤 식으로 전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Beaudrillard, J.;이상률(역)
  2. 나이트 클럽을 통해 본 신세대 놀이문화의 저항성에 관한 연구 김상미
  3. British Cultural 『문화연구 입문』 Turner, G.;김연종(역)
  4.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하위문화: 스타일의 의미』 Hebdige, D.;이동연(역)
  5. 의미-재미-권력의 문제를 통해 본 신수용자론 연구-존피스크의 능동적 TV수용자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강만석
  6. In a Different Voice Gilligan, C.
  7. Beauty Myth: How Images of Beauty are against Woman Wolf, N.
  8. 한국여성학 v.8 외모와 억압 고석주;정진경
  9. Gender & Society v.11 no.2 Make up at Work Dellinger, K.;Williams
  10. 20세기 화장문화에 관한 연구 조은별
  11. Une Histoire dela Beaute;『화장술의 역사-거울아, 거울아』 Paquet, D.;지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