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Criteria of the Walkway Level-of-Service in Korea

국내 보행 서비스수준의 평가기준

  • 김경환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생산기술연구소 연구원)
  • Published : 1999.08.01

Abstract

In the middle of motorization, the traffic problems become serious social problems in Korea. The walking environment is not only a topic which restores the community spirit of a city or society but also a lever which renovates the future space of the city environment-friend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criteria of walkway level of service adopting the concepts of safety. convenience, comfort, environment, security, and continuity in addition to present pedestrian flow rat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walkway plan in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adequacy of the present walkway level of service criteria, the walkways of which service levels were A, C, E according to USHCM were selected as study walkways, and an interview surre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hree service levels with those that pedestrians evaluate actually. Also, another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rvice conditions and satisfaction level at the walkways of high service levels(A and B).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reasonable walkway level of service criteria. the survey of pedestrian\`s consciousness for walkway service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new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walkway service were selected and the six levels of service for each criterion was analyzed: so the comprehensive criteria of walkway level of service were suggested.

오늘날 자동차 시대를 맞이하여 교통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고 보행이 도시와 사회의 공동체 의식을 복원시키는 화두로서 대두되며 나아가 도시의 미래공간을 친환경적이고 사람본위로 혁신하는 지렛대임을 의미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보행유율을 사용하는 현재의 보행 서비스 수준의 분석기준을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환경, 보호성, 연결성 등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보행 서비스수준의 기준을 제시하고 향후 보도계획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의 보행 서비스수준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진주시 일대와 부산시 일대의 시가지보도 중 미국의 도로요량 편람(USHCM)의 보행유율을 기준으로 서비스 수준이 A, C, E인 지점을 선정하여 보행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서비스 수준과 USHCM의 서비스 수준을 비교하기 위한 현장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서비스수준이 A와 B인 지점에서 보도공간의 서비스 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현장 면접조사도 병행하였다. 그리고 보다 합리적인 보도의 보행 서비스수준의 기준을 정립하기 위해서 보행자를 대상으로 보행 서비스에 관한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새로운 보행 서비스 평가의 기준을 선정하였다. 이 선정된 기준들에 따라 단계별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고 A∼F등급의 보행자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ighway Capacity Manual, Special Report 209 TRB
  2. Traffic Engineering William R;Mcshane;Roger P. Roess
  3.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John J. Fruin
  4. TRB 1405 Determination of Service Level fo Pedestrian with European Examples
  5. 1996 Symposium on Transportation and Emvironment Pedestrain Traffic Planning and Organizing in Shanghai Weici Xu
  6.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도심지 보행자공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김광옥
  7.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도심 보행자공간에서의 보행자 서비스수준에 관한 연구 박현철
  8.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도심 보행자 공간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정대경
  9. 토지개발기술 v.11 no.2 보행활성화를 위한 주거지내 보도환경의 시각적 지각가능 용소들의 임계 복잡도 설정을 위한 연구 홍철진
  10.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정 해설 및 지침 건설교통부
  11. 교통안전시설실무 편람 도로교통안전협회
  12. 녹색교통 no.42 보행교통과 가로에 관한 몇 가지 고찰 임상진
  13. 녹색교통 no.29 보행의 권리는 생활 기본권 박은호
  14. 녹색교통 no.25 교통약자를 위한 향후의 사회적 대응과제 금기정
  15. 도시교통론 오창수;유지성
  16. Statistical Analysis for Engineering J. Wesley Barnes
  17. 환경오염개론 이규성
  18. 소음과 진동(Ⅱ) R. G. White;J. G. Walker
  19. 환경공학 조영일;이수규;정연규;박영규;박돈희
  20. 도로시설물유지관리요령 및 규정(Ⅱ)-전기분야 서울특별시
  21. 도시교통론 원제무
  22. Roadway Lighting Handbook FHWA
  23. Interiro을 위한 전기와 조명 강도열;이준웅
  24. 최신조명공학 지철근
  25. 환경부 생활공해과
  26. 보행권회복을 위한 시민운동방향 최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