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색 청$\cdot$홍의 색조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tones on Korean Traditional Color Blue and Red

  • 이경희 (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부 섬유패션공학 전공)
  • 발행 : 1999.11.01

초록

한국전통색이란 시대를 초월하여 한국민족의 삶속에 살아있는 색이다. 이러한 전통색 중 한국전통색을 대표하는 청·홍의 색조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선시대의 색명과 염직유물의 색조를 조사하였다. 한국전통색 청·홍의 색조를 조사하기 위해여 먼저 조선시대의 문헌을 통하여 출현색명을 조사하였다. 색조를 나타내는 한국말에는 대단히 다양한 형용사가 앞에 붙어 색조를 특징짓는다. 색명에는 여러유형의 형용사들이 앞에 붙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은 농색과 담색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이다. 이처럼 제한된 색명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선인들은 다양한 톤의 청색계(32색)와 홍색계(40개)의 색명을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청·홍색계의 출현율은 대단히 높고, 조선시대의 궁중복식에서도 주조색으로서 사용되었다. 조선인은 다양한 청·홍색계의 배색으로 그들의 음양론에 기초한 색체관과 세련된 미의식을 표현하였다. 박물관에 있는 염직유물들의 색체는 측색되어 먼셀컬러시스템과 ISCC-NBS의 계통색명법에 의해 분류되고, 고찰되었다. 또한 전통색조인 남염과 홍화염이 산업체에서 이용되어지도록, 남염과 홍화염의 염색방법을 계량화하여,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passed down over countless generations has surpassed both surpassed both time and space and continue today to breathe life into its people's everyday.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lor blue and red, we investigate the names of them and measured the color tones of textile remains in Chosun era.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lor blue and red have been surveyed by means of the examination of color names in many famous literatures in Chosun era. Korean terms for color tones were characterized by enormous variety of epithes crowned on them. The color names mentioned contain many unaccountable epithes which were characterized also deep colors and light colors were dominant in it. As a means of enhancing possibilities within limited colors, the commoners increased the names for varying tones of blue color group(32kinds) and red color group(40kinds). These "blue(indigo dyeing)' and 'red(safflower dyeing)' in Chosun era were shown very high frequency in use and the costume colors in Royal Court. With combination of these various blue and red colors they represented a thought of color based on Yinyang Theory and created a polished aesthetic taste. The color samples of textile remains in museum were measured and designated by Munsell color system and the ISCC-NBS color designation system. THe appeared rates were derived on Chosun era and features of colors using on the period were discussed. We aim to present specific recipes in indigo dyeing and safflower dyeing for using our apparel product and folk ar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