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Biodegradation Rate on BPMC and Chlorothalonil

BPMC와 Chlorothalonil의 생분해율의 측정

  • 민경진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공중보건학과) ;
  • 차춘근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공중보건학과)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iodegradation rate of BPMC(2-sec-butylphenyl methyl carbamate) and chlorothalonil. In the biodegradation test of two pesticides by the modified river die-away method from June 17 to August 22, 1998, the biodegradation rate constants and half-life were determined in Nakdong(A) and Kumho River(B). Bio- degradation rate of BPMC was 27% in A sampling point, 40% in B sampling point after 7 days. Biodegradation rate constants and half-life of BPMC were 0.0460 and 15.1 days in A sampling point, 0.0749 and 9.3 days in B sampling point, respectively. Biodegradation rate of chlorothalonil was 100% in A and B sampling points after 7 days. Biodegradation rate constants and half-life of chlorothalonil were 0.1416 and 4.9 hours in A sampling point, 0.1803 and 3.8 hours in B sampling point, respectively. Biodegradation rate of chlorothalonil was faster than that of BPMC.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iodegradation rate constants of pesticides and water quality(DO, BOD, SS, ABS, $NH_3-N\;and\;NO_3-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D, SS and $NH_3-N$. Furthermore, regression analysis with BOD, SS and $NH_3-N$ as independent variable and biodegradation rate constant as independent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linear equ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PMC and chlorothalonil were mainly degraded by biodegradation, and the difference in biodegradation of two pesticides was due to difference of water quality.

Modified river die-away 법으로 1998년 6월 17일부터 7월 22일 까지 낙동강(A)과 금호강(B)에서 채수한 강물로 BPMC와 chlorothalonii의 생분해 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곽 kx다. BPMC의 경우 A지점의 실험군에서는 배양 7일 경과후 27%의 생분해를 나타냈으며 B지점의 실험군에서는 배양 7일 경과 후 40%의 생분해를 나타냈다. 생분해 속도상수와 반감기는 A지점에서 0.0460 및 15.1일 이었고, B지점에서 0.0749 및 9.3일로 조사되었다. Cholorothalonii의 경우 A지점의 실험군과 B지점의 실험군에서 배양 24시간 경과 후 모두 100%의 빠른 생분해를 나타내었다. 생분해속도상수와 반감기는 A지점에서 0.1416 및 4.9시간이었고, B지점에서 0.1803 및 3.8시간으로 조사되었다. Chlorothalonil이 BPMC보다 생분해속도가 빨랐으며, 수질오염이 심한 지역일수록 생분해율이 높은 것은 두 지점의 수질오염 및 종속영양세균수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 가지 농약의 생분해속도와 실험수의 DO, BOD, SS, ABS, $NH_3-N$와의 상관성을 구한 결과 각각 5% 유의수준에서 PMC의 경우 BOD, SS 및 $NH_3-N$이었고 chlorothalnil의 경우 SS, BOD 및 $NH_3-N$를 독립변수로, 생분해속도를 종속변수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5% 유의수준에서 각각의 농약에 대해 유의한 회귀식을 구할 수 있었다. BPMC는 실제 환경 중에서 생분해에 의한 영향을 더 받을 것으로 생각되며 chlorothalonil은 주요한 분해경로가 생분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