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Volume 3 Issue 1
- /
- Pages.53-59
- /
- 1999
- /
- 2384-1095(pISSN)
- /
- 2384-1109(eISSN)
Functional MRI of Language Area
언어영역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functional MR imaging (fMRI) for language mapping and determination of language lateralization. Materials and Methods : Functional maps of the language area were obtained during word generation tasks and decision task in ten volunteers (7 right handed, 3 left-handed). MR examinations were performed at 1.5T scanner with EPI BOLD technique. Each task consisted of three resting periods and two activation periods with each period of 30 seconds. Total acquisition time was 162 sec. SPM program was used for the postprocessing of images. Statistical comparisons were performed by using t-statistics on a pixel-by- pixel basis after global normalization by ANCOVA. Activation areas were topographically analyzed (p>0.001) and activated pixels in each hemisphere were compared quantitatively by lateralization index. Results : Significant activation signals were demonstrated in 9 of 10 volunteers. Activation signals were found in the premotor and motor cortices, the inferior frontal, inferior parietal, and mid-temporal lobes during stimulation tasks. In the right handed seven volunteers, activation of language areas was lateralized to the left side. Verb generation task produced stronger activation in the language areas and higher value of lateralization index than noun generation task or decision task. Conclusion : fMRI could be a useful non-invasive method for language mapping and determination of language dominance.
목적 : 언어기능의 지도화(language mapping) 및 우세반구 결정에 있어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서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원자 10명(남자 6명, 여자 4명, 오른손잡이 7명, 왼손잡이 3명)을 대상으로 단어생성 과제(명사만들기, 동사만들기)와 판단과제를 이용하여 언어영역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1.5T 초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EPI로 BOLD 기법을 이용하여 기능적 영상을 얻었으며, 여앙후처리는 SPM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기능적 영상은 2번의 활성기와 3번의 휴식기를 번갈아 시행하였고 스캔 시간은 각각30초였으며 총 영상획득시간은 162초였다. 유의수준 p<0.001을 기준ㅇ로 자극 과제에 따라 활성화된 뇌영역을 분석하였고 반구별로 활성화된 화소의 수를 측정하여 편재화지수(lateralization index)를 구하였다. 결과 : 왼손잡이 1명을 제외한 9명에서 성공적으로 기능적 영상을 얻었으며 양측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하전두회, 두정엽, 중측두회 등의 여러 영역에서 활성화 신호가 나타났다. 오른손잡이의 경우 편재화지수는 평균 0,64(0.16~1)로 모두 좌측으로 편재화 되었다. 과제별로는 동사만들기 과제가 명사만들기 및 판단 과제에 비해 언어 영역의 활성화가 많았고 편재화지수의 값도 높았다. 결론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언어영역의 뇌기능지도화 및 우세반구 결저에 있어서 유용한 검사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