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고정식 교정 환자의 치태, 치은염 및 탈회의 초기 변화에 관한 연구

Initial changes of dental plaque, gingivitis and decalcification in Korea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 강국진 (삼성의료원 강북병원 교정과) ;
  • 손병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Kang, Kook-Jin (Department of Dentistry, KangBuk Samsung Hospital) ;
  • Shon, Byung-Hwa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발행 : 1999.06.01

초록

구강내 고정식 교정장치의 장착으로 인해 치은염 및 치주염, 법랑질 탈회 및 치아 우식증, 치근 흡수, 치수변화 등 일시적 혹은 영구적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발생의 원인으로 치태의 증가, 세균수의 증가와 조성의 변화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변화는 치은의 염증과 탈회를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장치장착 전후의 치태, 치은염 그리고 탈회의 변화를 시간에 따른 변화, 남녀간의 차이 그리고 좌.우 소구치 부위간의 차이를 통해 알아보고자 전신질환이 없고, 여자의 경우 초경이 지난 사람을 대상으로 대조군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생 48명 (남자 26명, 여자 22명)과 실험군으로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할 환자 73명(남자 36명, 여자 37명)을 모두 잇솔질교육(TBI)을 실시한 후,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그리고 탈회 지수에 대하여 대조군은 3주 간격으로 2회를, 실험군은 최초측정을 하고 고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한 뒤 3주, 6주, 9주에 걸쳐 총 4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태지수(PI)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후 3주의 측정 이후 서서이 증가하였다. 2. 치은염지수(GI)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후 3주의 측정 이후 치태 지수의 증가보다 좀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탈회는 3주와 6주 사이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며, 탈회지수(DI)는 처음과 비교하여 6주 측정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4. 좌.우 소구치 부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의 치태지수와 치은염지수에서 우측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우측간의 발생빈도는 구순열이 53.3:46.7, 구순치조열이 59.5:40.5, 구순구개열이 59.2:40.8 으로서 좌측의 발생빈도가 우측에 비해서 높았다. 3. 순구개열의 남:여 발생빈도는 구순열은 57.9:42.1, 구순치조열은 68.8:31.2, 구순구개열은 76.1:23.9 로서 남자의 발생빈도가 여자에 비해서 높았다. 그러나 구개열에서는 41.7:58.3으로서 여자의 발생빈도가 남자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4. 내원 환자를 연령군 별로 조사한 결과 7-12세 군이 $52\%$로서 압도적으로 많았고, 0-6세 군 ($20.4\%$), 13-18세 군($17.2\%$), 18세 이상 군 ($10.4\%$)의 순이었다. 5. 구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0-3개월 군이 $60.3\%$로서 가장 많았고, 4-6개월 군이 $17.9\%$로 두 번째였다. 6. 구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1-2세군이 $31.7\%$로 가장 많았고, 0-1세군은 $25.6\%$, 2-3세군이 $12.1\%$였다. 구개 및 상악 성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5세 이상 군은 $11.6\%$를 차지하였다.7. 구순 반흔 제거수술시기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Intraoral filled type of orthodontic appliance can cause reversible or irreversible damages such as gingivitis, periodontitis, enamel decalcification, dental caries, root resorption, and pulpal changes. Such adverse effects are brought by increase in dental plaque as well as oral flora. Such an increase causes gingival inflammation and enamel decalc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klowledge on initial changes in dental plaque, gingivitis, and enamel decalcification after bonding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according to time flow, gender, and sides(right/left) of premolar region. For control group, 48 students of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26 males, 22 females) were chosen; for experimental group, 73 orthodontic patients(36 males, 37 females) who will be treated with fixed appliances were chosen. All the subjects had no systemic disease, juvenile periodontitis and all the females had passed their ,menarche. Tooth brushing instruction was given to all the subjects prior to the experiment. For control group,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decalcification index were measured twice at 3 weeks interval ; for experimental group, the same was done prior to, 3, 6, 9 weeks after bonding fixed applian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plaque index 3 weeks after placement of appliances, and it showed gradual increase afterwards. 2. In gingival index3 weeks after placement of appliances, and afterwards it showed increase at a faster rate than plaque index. 3. Enamel decalcification began to show between 3 and 6 weeks after bonding fixed appliances. Decalcification index began to increase 6 weeks after appliance placem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4.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wo sides of premolar region, the right side showed greater index in plaque and gingival index of experimental grou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