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the fruit body and cultured mycelia of Phellinus linteus IY001. All fractions were extracted by hot water, followed by ethanol precipitation (F-THE and M-HE) or ultrafiltration (M-HU) (F-TH, F-THE; fruit body, M-HE, M-HU; cultured mycelia). Among these fractions, F-TH fraction was obtained at the highest yields of 6.83% and yield of F-THE was at the level 2.79%. The carbohydrates of these fractions was found to be a heteroglucan composed of glucose, galactose, mannose, fructose, ribose and xylose by analysis of gas chromatography. The total carbohydrate contents of M-HE and M-HU fractions were 99.2%, and 86.0% respectively. The glucose content of M-HE, M-HU and F-THE ranged from 54 to 84.8% of the total monosaccharide. Amino acid pattern showed that all fractions contained a large amount of aspartic acid,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 Serine and threonine were found to be involved in the linkage, O-linked type. These fractions, except F. TH, contained polysaccharides with the molecular weights of 12 kD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R absorption for ${\beta}-glucosides$ at $890\;cm^{-1}$.
목질진흙(상황)버섯 자실체와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추출에 의한 다당류의 수율은 자실체분획이 높게 나타났다. 총 당은 균사체 분획이 높고, 단백질과 hexosamine은 자실체 분획이 균사체보다 높게 나타났다. 구성 당은 대부분 분획에서 glucose가 주를 이루면서 여러 가지 단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아미노산의 경우 대부분 분획은 Asp, Gly, Glu를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당과 단백질의 결합력에 관여하고 있는 Ser과 Thr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당류의 분자량은 12 kD 부근에서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IR spectrum pattern은 다당류의 전형적인 peak 흡수대를 나타냈으며, ${\beta}-glucan$과 ${\alpha}-glucan$이 혼재된 다당류인 것으로 추정되나 $890\;cm^{-1}$ 부근에서 흡수대가 나타나므로 ${\beta}-glucosidic$ 결합이 상대적으로 다량 함유된 ${\beta}-glucan$성 다당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의 결과들로부터 목질진흙(상황) 버섯 자실체와 균사체 배양물의 열수추출 및 열수 추출물의 에탄올, UF처리 분획들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 다당류로 확인되었고, 자실체와 균사체의 성분은 서로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련한 항종양 및 면역활성 등의 약리 활성 본태는 이들 다당류에 의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의 약리효과는 그들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목질진흙(상황)버섯에 대한 일반적인 인지도가 높음을 고려할 때 매우 가격이 높은 자실체보다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균일한 약리활성을 갖는 균사체 배양물의 UF처리 다당류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의 개발이 요망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