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Unemployment Duration: A Survival Analysis Using Log Normal Model

실업급여 수급권자의 실업기간과 재취업에 관한 실증연구: 모수적 생존모델(Log-Normal Model)을 이용한 분석

  • 강철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교성 (세종대학교 행정대학원) ;
  • 김진욱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Published : 1999.04.30

Abstract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unemployment duration and exit rate from unemployment.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using data for the years 1996 and 1997 on unemployed individuals who are eligible for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in Korea. A parametric survival model (log-normal model) is adopted to identify factors predicting transitions to reemployment. Factors that affect unemployment duration are sex, age, employment duration (year), prior salary, region, prior employment industry, cause of unemployment, officially determined unemployment benefit duration, degree of benefit exhaustion, and amount of benefits for early reemployment. However, educ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gree of benefit exhaustion, the exit rate from unemployment decreases as benefit exhaustion is approached. In amount of benefits for early reemployment, the exit rate from unemployment increases as amount of benefits increases. Hazards for reemployment gradually increase until 80 days after unemployment and gradually decrease in the following period. Thus, we find that distribution of hazards for reemployment has log-normal shapes between inverted U and inverted L This paper takes advantage of a unique analysis about unemployment duration and exit rate from unemployment in the Korean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 which functions as the most valuable social safely-net mechanism in the recent national economic crisis. Indeed, this paper provides a basic knowledge about realities of unemployed individuals in the Unemployment Insurance system and identifies research areas that require further study.

실직자의 재취업 실태 및 실업기간에 관한 실증연구는 지난 수 십년간 실업(고용)보험의 연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여 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주제에 관한 체계적 실증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1996년 7월부터 1997턴 12월까지 18개월간 총 60,141명의 실업급여 수급권자 중 1997년 6월까지의 실업급여 수급권자 40,175명을 대상으로 생존분석의 Life table 분석과 Accelerated Failure Time 모델분석을 실시하여, 실직자 및 실업급여 관련 변수들이 실업탈피 기대기간(expected unemployment period)에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 분석하였다. 생존분석결과 최장 실직기간까지 실업상태로 남아있는 수급권자들의 비율(누적생존율)이 64.83%나 되었다. Accelerated Failure Time 모델 중 Log-Normal Model에 의한 분석결과 교육수준과 상시근로자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독립변수들이 재취업까지의 기대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종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학력, 고임금을 받던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에 대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필요성과 지역 및 업종의 재취업여건 차이를 감안한 실업대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으며, 실업급여의 제도적 변수가 나타내는 순수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다각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