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EPHALOMETRIC EVALUATION OF MIXED DENTITION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Ricketts 분석법에 의한 혼합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

  • Lee, Sang-M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R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hn, Se-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상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정태련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한세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Published : 1999.05.31

Abstract

In order to define a current set of Korean children norm with mixed dentition, following study was done. The subjects were 102 healthy dentition contestants(48boys, 54girls). Standardized lateral head roentgenograms were taken, and Ricketts analysis was done. Results were as follows: 1. Length of anterior cranial base, posterior facial height, corpus length were longer in male than in female(p<0.05), and Porion was located posteriorly in male than in female(p<0.01). 2. Through facial depth, Pogonion of male was more forwardly positioned(p<0.05), mandible was significantly steeper in female, and maxillary anterior teeth were significantly tipped forward in male(p<0.05). 3. Variables such as length of anterior cranial base, upper molar position(p<0.01) and corpus length(p<0.05) were significantly changed by age. 4. Maxillary height, facial depth, mandibular plane angle, convexity were changed by age, but not significantly(p>0.05).

부정교합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두개 및 안면부의 형태와 성장 양상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소아치과 영역에서 필요한 혼합치열기 아동에 대한 연구는 성인의 그것에 비하여 많지 않음에 저자는 혼합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두부방사선학적 표준치를 얻고자 건치아동 선발대회의 후보중 보존적, 보철적, 교정적, 성형외과적 치료경험이 없고 연구모형 상에서 비교적 교합이 양호하며 안모 및 전신발육 상태가 정상으로 생각되는 아동 102명(남자 48명, 여자 54명)을 선정하여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한 후, Ricketts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두개저 길이, 후안면고경, 하악체의 길이를 나타내는 항목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나타내었고(p<0.05), Porion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후방위치하고 있었다(p<0.01). 2. 안면의 깊이를 통해서 본 Pogonion은 남자가 더 전방위치하고 있었고(p<0.05), 하악하연평면각은 남자에서보다 여자에서 유의하게 컸으며(p<0.01), FH 평면에 대해 남자의 상악중절치가 여자에 비해 유의하게 전방으로 경사져 있었다(p<0.05). 3.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변하는 항목은 전두개저 길이, 상악대구치의 위치(p<0.01), 하악골체의 길이(p<0.05)였다. 4. 상악골의 고경, 안면의 깊이, 하악하연평면각, 상악돌출도등에서도 연령에 따른 변화는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