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mentation Patterns of Green Onion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파김치와 배추김치의 발효양상

  • Lee, Hun-Joo (Cellular Response Modifier Research Unit, Korea Reseach In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Joo, Yun-Jung (Cellular Response Modifier Research Unit, Korea Reseach In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Park, Chan-Sun (Cellular Response Modifier Research Unit, Korea Reseach In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Lee, Jung-Sook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orea Reseach In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Park, Yong-Ha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orea Reseach In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Ahn, Jong-Seog (Cellular Response Modifier Research Unit, Korea Reseach In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Mheen, Tae-Ick (Cellular Response Modifier Research Unit, Korea Reseach In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이헌주 (생명공학연구소 세포반응조절 R.U.) ;
  • 주윤정 (생명공학연구소 세포반응조절 R.U.) ;
  • 박찬선 (생명공학연구소 세포반응조절 R.U.) ;
  • 이정숙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사업실) ;
  • 박용하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사업실) ;
  • 안종석 (생명공학연구소 세포반응조절 R.U.) ;
  • 민태익 (생명공학연구소 세포반응조절 R.U.)
  • Published : 1999.04.30

Abstract

Chang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ation patterns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of Green Onion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at 10 and $20^{\circ}C$. Fermentation of Green Onion Kimchi proceeded more slowly than Chinese Cabbage Kimchi in point of changes of pH, total acidity and total viable cell number. Maximum number of total viable cell,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in Green Onion Kimchi were smaller than in Chinese Cabbage Kimchi. And these differences were larger in fermentation at $10^{\circ}C$. Total sugar content of Green Onion Kimchi was higher than Chinese Cabbage Kimchi not only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but also at the end of fermentation. Therefore, the reason for the slow fermentation of Green Onion Kimchi was not low sugar content. Major lactic acid bacteria of properly fermented Green Onion Kimchi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which had been reported to be major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hinese Cabbage Kimchi.

파김치와 배추김치를 제조하여 $10^{\circ}C$$20^{\circ}C$로 발효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젖산균의 변화와 발효 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pH, 총 산도 및 총 균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파김치가 배추김치보다 발효가 늦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총 균수, Leuconostoc 속 젖산균의 최대 균수 및 Lactobacillus 속 젖산균의 최대 균수도 배추김치보다 파김치에서 적었고 이러한 차이는 발효 온도가 낮은 $10^{\circ}C$의 경우 더욱 크게 나타났다. 파김치를 $10^{\circ}C$에서 발효시킨 경우 34일 경과 후에도 발효가 여전히 진행 중이었다. 총 당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담금 직후 파김치가 배추김치보다 높았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실험 종료 시점에서도 여전히 파김치가 높은 당 함량을 보여 파김치의 발효가 배추김치보다 느리게 진행되는 것이 총 당 함량이 낮았기 때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적숙기 파김치에서 분리한 주된 젖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어 배추김치 발효의 주된 젖산균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