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입원한 전반적발달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특성

  • Pyo, Kyung-Si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Hospital) ;
  • Bahn, Geon-H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
  • Hong, Kang-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Tae-Wo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표경식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반건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홍강의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 박태원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Objectives and Methods:This study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modality, outcome of 57 children and adolescent inpatients(male 53, female 4) who were diagnosed as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by DSM-Ⅳ criteria recent five years. Results:1) The mean age at admission was $96{\pm}28.2$ months, and the mean age at which they first visited treatment facility was $52{\pm}26.6$ months. The mean hospitalization period was $43.7{\pm}31.3$ days. 2) Diagnosis:Twenty-seven(47.4%) of subjects met DSM-Ⅳ criteria for PDD NOS. Fifteen (26.3%) met for autistic disorder, nine(15.8%) met for Asperger's syndrome, and two(3.5%) met for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3) Comorbid diagnosis:The most common comorbid dignosis wa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23.8%). 4) IQ test:IQ test for twenty-eight subjects was possible. The Average of the subjects was $70{\pm}27.5$. Fifteen(53.6%) of the subjects were approximate or under 70. 5) Neurology Abnormality:EEG findings of eleven(21.2%) subjects were abnormal, brain CT or MRI findings of eight subjects(21.6%) were abnormal. 6) Family Hx:Depressive disorder were found in Eight mothers(14%). Familial loading was found in twenty families(35.1%), and familial loading of PDD was found in three(5.3%). Conclusion: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management of PDD is early detection and early treatment. To do so,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should be emphasized.

요 약:소아 ${\cdot}$ 청소년 병동에 입원하였던 전반적발달장애 소아 청소년 환자의 임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 법:최근 5년간 입원하였던 57명(남자 53명, 여자 4명)의 전반적발달장애 소아 청소년 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진단, 아동초기 발달력, 공존 정신병리 및 신경심리학적 검사, 부모의 정신병리 및 가족력, 치료형태 및 경과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1) 입원시 평균연령은 $96{\pm}28.2$개월이었으며, 대상아동이 처음으로 전문기관을 방문했던 평균연령은 $52{\pm}26.6$개월이었다. 평균 입원기간은 $43.7{\pm}31.3$일이었다. 2) 진단은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전반적발달장애’가 27명(47.4%)으로 가장 많았고, 자폐장애 15명(26.3%), Asperger증후군 9명(15.8%), 소아기 붕괴성장애 2명(3.5%) 순이었다. 3) 임신기간 동안 문제를 보고한 환자모는 33명(57.9%)이었고, 이들 중 21명(36.8%)은 불안, 우울 등 심리적 문제를 보고하였다. 발달력상 특징적 소견으로, 34명(59.6%)에서 외인불안이 없었다 하였고, 30명(52.6%)에서 분리불안이 없었다고 하였다. 4) 공존병리로서는 13명(23.8%)에서 주의력결핍 ${\cdot}$ 과잉행동장애, 2명(3.5%)에서 틱장애, 3명(5.3%)에서 정신증이 있었다. 지능검사가 가능했던 28명의 평균 FSIQ는 $70{\pm}27.5$였으며, 이중 15명(53.6%)에서 70 이하였다. 벤더게스탈트검사(BGT)가 가능했던 28명 중 27명(96.4%)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5) 뇌파검사를 시행하였던 52명 중 11명(21.2%)에서 이상소견을 보였으며, 뇌영상검사를 시행했던 37명중 8명(21.6%)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6) 부모의 정신병리로는 환자모 8명(14%)에서 우울증을 보였다. 20명(35.1%)에서 정신과적 가족력이 있었으며, 이중 3명(5.3%)에서는 전반적발달장애의 가족력을 보였다. 7) 입원전의 치료형태를 살펴보면, 62.5%에서 조기교육을 포함한 특수치료를 받았다. 62.5%는 정신과 외래치료를 받았다. 결 론:전반적 발달장애의 경우 발달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므로 더더욱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의 필요성이 강조되야 한다. 치료시 다면적 접근이 필수적이므로 치료자간의 이해와 교류가 동반되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