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충을 이용한 동해의 환경 안정성 연구

Study of Environmental Stability of the East Sea by Foraminiferal Distribution

  • 신임철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지질연구부) ;
  • 이희일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지질연구부)
  • Shin, Im-Chul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Yi, Hi-Il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투고 : 1998.03.31
  • 심사 : 1998.06.20
  • 발행 : 1998.11.30

초록

동해의 해양투기장 해역에 버려진 폐기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동해 남부해역에 위치한 해양투기장 해역(정점 B, B')과 부산 동쪽의 외해에 위치한 해양투기장 해역(정점 J, J') 및 인근 지역(정점 J2, J6, H)에서 채취한 박스코아의 퇴적물에 함유된 유공충을 연구하였다. 유공충의 종다양성지수[S, H(S), E]와 부유성 및 저서성 유공충의 수는 해양투기장 해역과 인근 해역에서 차이를 보인다. 동해 남부해역에 위치한 해양투기장 해역 B와 B' 에서는 유공충의 종수가 작으며, 조립질 퇴적물의 양과 저서성 및 부유성 유공충의 수 또한 주변 해역에 비해 작은 값을 보인다. 부산 동쪽의 외해에 위치한 투기장 해역 J'에서는 인근의 다른 지역과는 다르게 비정상적으로 매우 많은 저서성(약 300,000 개체/10 g 건조시료) 및 부유성(약 300,000 개체/10 g 건조시료) 유공충이 나타난다. 아마도 투기된 폐기물이 영양분의 역할을 했을 것이다. J 해역은 B, B' 해역과 마찬가지로 다른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종다양성지수[S, H(S)]를 보인다. 또한 J 해역의 코아 퇴적물에서는 저서성 유공충의 수가 코아 표층에서 코아 하부로 갈수록 감소한다. 이러한 사실은 J 해역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환경임을 의미한다. J', J2, J6 해역은 매우 높은 종다양성지수[S, H(S)]를 보이는데, 이는 이들 해역이 매우 안정된 환경임을 의미한다. 투기장 및 인근 해역에서 병에 걸리거나 스트레스가 극심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이상격실(abnormal chamber)을 가진 유공충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투기장 해역에 버려진 폐기물의 유기분해가 저층수를 부식성으로 바꿀만큼 강하지 않았다.

Seven box cores from the disposal area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Stations Band B') and in the offshore to the east of Pusan (Stations J and J'), and from their surrounding areas (Stations J2, J6 and H)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umped wastes on the foraminiferal assemblages.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S, H(S), E] of foraminifera and the total number of foraminifera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cean waste disposal areas and their adjacent areas. Ocean waste disposal areas located in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Stations Band B') show not only smaller number of foraminifera species but also lower values of coarse fraction content in the sediment and the number of benthic and planktonic foraminifera than the surrounding areas. Another ocean disposal area located offshore Pusan (Station J') contains abnormally greater number of planktonic (approximately 300 000 individuals/lO g dried sediment) and benthic (approximately 300, 000 individuals/10 g dried sediment) foraminifera compared to those of the adjacent areas. The waste dumped at Station J' probably acts as a nutrient causing the greater number of foraminifera. Station J shows low species diversity indices [S, H(S)]. The number of benthic foraminifera decreases from the surface to the downcore at Station J, which indicates that Station J is under stress. However, Stations J', J2 and J6 are under stable conditions as evidenced by the greater species diversity indices [S, H(S)] compared to other stations. No foraminifera were found with biological disease or abnormal chambers, which commonly occur in extremely stressed environment, in both the ocean disposal and adjacent areas. The organic matter decay of the wastes dumped in the study areas has not made the bottom water corrosiv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해양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