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Volume 3 Issue 4
- /
- Pages.203-213
- /
- 1998
- /
- 1226-2978(pISSN)
- /
- 2671-8820(eISSN)
Chemical Environment of Ocean Dumping Site in the Yellow Sea
황해 해양투기해역에서의 해양화학환경
- Park, Yong-Chul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Lee, Hyo-Jin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Son, Ju-W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Inha University) ;
- Son, Seung-Kyu (Dee-Sea Resources Research Center,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Received : 1998.08.05
- Accepted : 1998.09.02
- Published : 1998.11.30
Abstract
To investigate impacts of waste disposal on the marine environment for 9 years since dumping activity commenced in the Yellow Sea, chemical analysis of seawater has been done in and around the ocean dumping site. Results show that biogeochemical changes have occurred locally in the dumping area compared with the reference area, resulting in low dissolved oxygen saturation, low pH, and high accumulation of nutrients in the bottom layer.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chemical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urface layer and bottom layer, and again the bottom layer can be divided into that of dumping area where nutrients are accumulated and that of reference area. Low pH, low dissolved oxygen, high COD and accumulation of nutrients mainly characterize the dumping area.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inorganic nitrogen in the bottom layer below the thermocline has increased from
본 연구는 해양투기가 시작된 지 9 년이 지난 현재 황해 투기해역과 주변해역의 해수질 현황을 파악하여 해양투기가 해양환경에 미친 영향을 판단하고, 또한 투기해역 저층의 장기적인 영양염류 축적현상을 파악하여 해양투기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투기해역은 주변해역과 비교할 때 영양염류 등이 저층에서 높게 나타나며 pH, 용존산소 포화도 등 기타 화학적 요인의 국지적 변화가 뚜렷하여, 해양투기에 따른 생지화학적 영향이 투기해역에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점간 화학자료를 통계변수로 하여 수괴에 대한 집괴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연구해역은 수온약층 상층의 표층수괴와 수온약층 이심의 저층수괴로 크게 2 대분 될 수 있었으며, 저층수괴는 다시 축적현상이 대체로 심화되어 있는 투기해역 저층수괴와 주변해역 저층수괴로 나뉘어 질 수 있었다. 한편 화학종 변수들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연구해역의 화학적 특성은 pH, 용존산소 포화도 그리고 COD의 특성과 영양염류 등의 특성에 따라 크게 2 대분 될 수 있었다. 이는 투기해역 저층에서의 유기물 산화에 따른 용존산소의 소비,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