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여름철 남해 표층수의 이상저염수 현상과 영양염류의 분포특성

Low Salinity Anomaly and Nutrient Distribution at Surface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 during 1996 Summer

  • 김성수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과) ;
  • 고우진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과) ;
  • 조영조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과) ;
  • 이필용 (국립수산진흥원 적조공학과) ;
  • 전경암 (국립수산진흥원 남해수산연구소 어업자원과)
  • Kim, Seong-Soo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South Sea Regional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Go, Woo-Jin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South Sea Regional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Jo, Yeong-Jo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South Sea Regional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Pil-Yong (Harmful Algal Blooms Engineering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Jeon, Kyeong-Am (Fisheries Resources Division, South Sea Regional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투고 : 1998.01.08
  • 심사 : 1998.04.16
  • 발행 : 1998.08.31

초록

1996년 8월 1일부터 10일까지 남해 해양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남해 표층의 저염화현상과 표층수 중 영양염류의 분포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주도 서쪽에 위치한 313선의 05점과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314선의 09점에서 20.00 psu 이하의 저염수가 출현하고 있으며, 이 저염수의 핵을 중심으로 30.00 psu 이하의 저염수가 남해 동부해역을 제외한 제주도 주변 대부분의 해역들에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저염수의 최저염분 농도는 과거 30년 동안의 평균값보다 11.78 psu 낮은 값으로서 이는 양자강 유역에서 6월과 7월에 평년보다 훨씬 많은 강수량에 의해 막대한 양의 담수가 유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저염수는 대체적으로 수심 10~20 m 상부층에 존재하고 있어서 중 저층수와는 확실히 구분되고 있다. 표층수 중 영양염류는 인산인의 경우 농도가 비교적 낮고, 해역별 차이도 매우 작았다. 그러나, 질산질소와 규산규소는 저염수가 분포하고 있는 제주도 서쪽 및 남서쪽 해역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를 보이며, 특히 염분농도가 가장 낮은 정점에서 농도가 가장 높았다. 질산질소와 규산규소의 경우 보존성 성분인 염분과 역의 상관성을 보이는데, 이는 양자강 유출수와 같이 영양염류 농도가 풍부한 물이 제주도 서쪽 해역으로 이동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그라나, 인산인이 다른 영양염류 성분과는 달리 염분의 큰 변동에도 불구하고 농도 변화가 거의 일정한 것은 해수중의 물질순환과정이 질산질소 및 규산규소와는 다름을 의미한다.

In August 1996, seawater salinity and nutrient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at surface waters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low-salinity (< 20.00 psu) waters were observed in the western and southwestern offshore areas of Cheju Island. Relatively low saline (< 30.0 psu) waters occupied most of the survey areas only except in the eastern part. The observed minimum salinity was lower by 11.78 psu than that of the average between 1963 and 1995. The low saline waters appeared in the upper layer of generally 10-20 m deep, and were obriously distinguished from high-salinity (> 32.00 psu) waters, 30 m deep. The low saline waters may originate from the freshwater discharge of vast amount of from Yangtze River during the heavy rainfall season in China. Phosphate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waters were relatively low and were less variable than those of nitrate and silicate.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silicate occured in the western and southwestern offshore areas of Cheju Island, where the salinities were the lowest. The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silicate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salinity, whereas that of phosphate showed a considerable scatter and non-conservative behaviours. This indicates extensive desorption reactions of suspended materials releasing phosphat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수산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