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조간대 퇴적물의 계절적 집적양상과 보존: 한국 서해안의 곰소만

  • Chang, Jin-Ho (Department of Marine Resourc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n-Yo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 ;
  • 최진용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 Received : 1998.04.16
  • Accepted : 1998.06.20
  • Published : 1998.08.31

Abstract

Seasonal changes of topography, sediment grain size and accumulation rate in the Gomso-Bay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he tidal-flat sediments. Seasonal levelings across the tidal flat show that the landward movement of both intertidal sand shoals and cheniers accelerates during the winter and typhoon periods, but it almost stops in summer when mud deposition is instead predominant at the middle and upper tidal flats. Seasonal variations of mean grain size were largest on the upper part of middle tidal flat where summer mud layers were eroded during the winter and typhoon periods. Measurements of accumulation depths from sea floor to basal plate reveal that accumulation rates were season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idal-flat surface. The upper tidal flat where the accumulation rate of summer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winter was characteriz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throughout the entire year, whereas in the middle tidal flat, sediment accumulations were concentrated in winter relative to summer and were intermittently eroded by typhoons. The lower tidal flat were deposited mostly in winter and eroded during summer typhoons. Can cores taken across the tidal flat reveal that sand-mud interlayers resulting from such seasonal changes of energy regime are preserved only in the upper part of the deposits and generally replaced by storm layers downcore. Based on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storm deposits by winter storms and typhoons would consist of the major part of the Gomso-Bay sediments.

우리나라서해안의 곰소만 조간대에서 조간대 퇴적층의 형성 및 보존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지형, 퇴적물의 입도, 집적률 등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간대를 횡단하는 측선에 대해 계절별로 수준측량한 결과, 겨울과 태풍 때 중부 조간대의 조간대사주(intertidal sand shoal)와 상부 조간대의 쉐니어(chenier)가 육지방향으로 크게 이동하였고, 특히 태풍 때에는 중 하부 조간대가 광범위하게 침식되었다. 그러나 여름에는 조간대사주와 쉐니어의 이동이 제한되었고, 중부 조간대의 상부역과 상부 조간대에 펄이 퇴적되었다. 퇴적물의 계절적 입도변화는 주로 중부 조간대의 상부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5.5 ${\phi}$에서 모드를 갖는 펄질 퇴적물의 집적(여름)과 침식(겨울, 태풍)에 의해 야기되었다. 해저면에서 기준면까지의 깊이를 2 개월 간격으로 측정한 결과, 상부 조간대에서는 연중 지속적으로 퇴적이 이루어지고 겨울보다 여름에 집적률이 높은 반면, 중부 조간대에서는 여름보다 겨울에 퇴적이 우세하고 태풍 때 간헐적으로 침식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하부 조간대는 주로 겨울에 퇴적되었고 여름과 태풍 때 침식되었다. 캔코아를 통해 퇴적층의 보존모습을 분석한 결과, 위의 계절변화 양상이 대체로 코아의 상부층에만 제한적으로 보존되었고, 하부층으로 갈수록 폭풍 퇴적층의 출현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에 기초하여 볼 때, 곰소만 조간대층의 많은 부분이 겨울 폭풍 또는 간헐적 태풍에 의해 재구성된 폭풍 퇴적층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