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Volume 45 Issue 5
- /
- Pages.992-999
- /
- 1998
- /
- 1738-3536(pISSN)
- /
- 2005-6184(eISSN)
Objective in Vivo Quantification of Emphysema by Thin-Section CT: Correlation with Physiologic Findings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폐기종의 정량적 분석: 폐기능 검사와의 비교
- Lee, Jee-Young (Department of Radiolog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ye-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Eun-K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ang-Joon (Department of Radiolog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Young-Hi (Department of Radiology,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지영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이계영 (단국대학교 내과학교실) ;
- 최은경 (단국대학교 내과학교실) ;
- 김상준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최영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0.30
Abstract
Background: To correlate the emphysema score for quantification of the overall extent of emphysema in both lungs by CT with physiologic fingings and to get more objective and simple method to assess the extent of emphysema. Method: Thin-section CT and pulmonary function test(PFT) were performed in 17 patients with emphysema (all males, mean age, 62 years). Emphysema score was obtained as percentage of emphysematous lung area, dividing the total area of the emphysema(voxels with attenuation value less than -880, -900, -920HU, respectively) by the overall area of both lungs(voxels with attenuation value less than -400HU) with highlighting voxels using "Density mask" program. Emphysema score was calculated from whole lung(ESV) and 5 representative scans(ESR) using "Density mask", Visual emphysema score(ESV) was obtained by visual assessment from 5 representative scans. Correlation of these emphysema scores(ESW, ESR, ESV) and physiologic findings were performed, comparing the ESW with ESR and ESV. Results: ESW had correlation with DLCO(r=0.53-0.64) and
연구배경: CT상 폐기종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 "Density mask"를 이용하거나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폐기종 지수를 구하고, 폐기종 지수와 폐기능 검사 지표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으며, 폐기종 지수를 구하는 여러 방법을 비교하여 보다 간단하고 객관적인 방법을 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17명의 폐기종 환자를 대상으로 고해상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모두 남자 환자임, 평균연령 62세), 모든 환자에서 폐확산능과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마다 전체 폐를 포함하는 모든 스캔에서 "Density mask"를 이용하여 -400HU를 기준으로 한 전체 폐용적에 대한 -880, -900, -920HU를 기준으로 한 폐기종 영역의 비를 각각 구하여 폐기종 지수(ESW)를 얻었다. 또 대동맥궁 첨부에서 4cm 간격으로 5-단면을 선택하여 "Density mask"를 이용한 폐기종 지수(ESR)를 구하고, 육안적으로 관찰하여 폐기종 지수(ESV)를 구하였다. 각각의 폐기종 지수를 폐기능 검사지표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 보았으며, 폐기종 지수를(ESW, ESR, ESV)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곁 과: 폐기종 환자에서 "Density mask"로 전체 폐를 이용하여 얻은 폐기종 지수(ESW)는 폐확산능 (r=0.61)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