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SaO_2$, PFT and ABGA During the Bronchofiberscopy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 따른 산소 포화도, 폐기능 및 동맥혈 가스의 변화

  • Kim, Jo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Shin, Jeon-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Tae-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Chang, Ju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Cheon, Seon-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김종선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정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태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장종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천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Background: Bronchofiberscopy is a procedure with a chance of airway irritation and it may cause pathophysiologic changes of respiratory system. So we tri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bronchofibercopy on $O_2$ saturation, ABGA and PIT by patient's basal status and procedure type. Method: $O_2$ saturation was measured every 1 minute from the left index finger tip with percutaneous oximetry. ABGA was done before and right after the bronchofiberscopy and PIT was done before and within 10 minutes after the bronchofiberscopy. Results: The mean time for bronchofiberscopy procedure was 14.5mim and $SaO_2$ maximally fall to 89.0 below 8% of the baseline after mean time of 8.4min, which was recovered at the end of the procedure. $SaO_2$ change amount was 8.4 % on Non-$O_2$ supply group, which was lower compared to 6.4 % of the $O_2$-supply group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ce. Biopsy Group and BAL group showed more $SaO_2$ fall than washing only group. The level of $PaO_2$ and FEV1 of the patient didn't influence significantly on $SaO_2$ fall during the procedure. ABGA taken before and after the bronchofiberscopy showed mild fall of $PaO_2$ and mild rise of $PaCO_2$. Whereas PFT showed decrease of FEV1(P<0.05) and increase of RV without changes in airway resistance and pulmonary diffusion capacit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bronchofiberscopy, the washing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on PIT, while the biopsy group and the BAL group showed increase of RV & decrease of $FEV_1$ after the bronchofiberscopy. BAL group showed more changing tendency rather than biopsy group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Bronchofiberscopy is considered a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but it would be better to be done with $O_2$ supply especially in the patient with low $PaO_2$ and in the case of biopsy and BAL.

연구배경: 기관지 내시경은 기도를 통하여 내시경을 삽입한 후 약 10-30분 가량의 시술을 포함하기 때문에 호흡기계에 병태 생리학적 변화를 동반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내시경 검사에 따른 경피적 산소 포화도의 변화와 검사 전후 동맥혈 가스 및 폐기능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1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 내시경을 입으로 삽입하여 실시하였으며 내시경 전과정을 통하여 pulse oximetry를 사용하여 왼쪽 검지 손가락 끝에서 l 분 간격으로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였다.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 시행전과 직후에 폐기능과 동맥혈 가스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기관지내시경의 평균 시술시간은 14.5분이었고, $SaO_2$는 평균 8.4분후에 최저로 떨어져 $89.0{\pm}5.54%$로 기저치보다 8% 저하되었으나 종결시 회복되었다. 산소 공급군과 비공급군에서 시술시간은 산소공급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나, $SaO_2$의 감소는 산소비공급군에서 8.4%로, 산소 공급군의 6.4%보다 컸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산소 비공급군에서 Biopsy군와 BAL군이 Washing군에 비하여 $SaO_2$ 저하가 더 큰 경향을 보였으나 종결시에는 유사하게 회복되었다. 기관지내시경 시행전 $PaO_2$$FEV_1$의 정도는 기관지내시경중의 $SaO_2$ 감소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기관지내시경을 전후하여 시행한 ABG상 경미한 $PaO_2$의 감소와 $PaCO_2$의 증가를 보였으며, vP기능 검사상 $FEV_1$의 감소(P<0.05)와 RV의 증가를 보였으나 기도 저항과 폐확산능의 변화는 없었다. 기관지내시경을 전후하여 비교하였을 때 Washing군은 폐기능의 큰 변화가 없었으나, Biopsy군과 BAL군은 기관지내시경후 $FEV_1$이 감소하고 RV가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았으나 BAL군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