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Equation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Derived from the Forced Expiratory Spirogram for Healthy Adults over 50 years old in rural area

농촌지역 50세 이상 인구의 노력성호기곡선을 이용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의 추정정상치

  • Kim, Wo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wangju Christian Hospital) ;
  • Kim, Kwa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wangju Christian Hospital) ;
  • Youn, Boung-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wangju Christian Hospital) ;
  • Lee, Seung-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wangju Christian Hospital) ;
  • Cho, Chul-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wangju Christian Hospital) ;
  • Choi, Jin-S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Hun-Na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wangju Christian Hospital)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Background: The studies on prediction equation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for adults in Korea have been performed in a reference population mainly consisted of young and middle ages. So they included a relatively few elderly who conducted pulmonary function test frequently in clinic. We established prediction equation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for healthy adults over 50 years old in rural area and compared this results with those of other studies. Therefore we attempted to consider normative values of pulmonary function tests for elderly in Korea. Method: Five hundred thirty-three women and men over 50 years old in rural area were participated. A "healthy" subgroup of 110 women and 32 men were identified by excluding those who had conditions that negatively influenced pulmonary function. We derived prediction equations for FVC, $FEV_1$ and $FEV_1%$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from their age, heights and weights in each sex. Results: Prediction equations for FVC and $FEV_1$ in each sex were derived as follows Male; FVC (L)=0.02488Height(cm)-0.0269Age(years)+0.493 $FEV_1(L)$=0.01874Weight(kg)-0.0282Age(years)+2.906 Female; FVC(L)=0.02160Height(cm)-0.0192Age(years)-0.0125 $FEV_1(L)$=0.01720Height(cm)-0.0194Age(years)+0.3890 Prediction equations for $FEV_1%$ were not derived because $FEV_1%$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terms. Comparing Predicted values that were calculated by substitution into the equations of various studies of mean values of age, heights and weights from this study, FVC and $FEV_1$ values in men of this study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In women, FVC and $FEV_1$ values of this study were as similar as or lower than those of the study conducted for healthy elderly blacks in U.S.A respectively. Conclusion: We have got prediction equations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which were driven from forced expiratory spirogram in adults over 50 years old in rural area. Predicted values of this study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which were conducted in Korea. So we consider that the study for spirometry reference values for elderly Korean using the method compatible with ATS recommendation need to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forward.

연구배경: 우리나라의 노력성 호기곡선을 이용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에 관한 연구는 청년과 중년층이 대부분인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실제 폐기능검사를 많이 하는 고령인구를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일부 농촌지역 50세 이상 건강인군에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 산출 공식을 구하고 이들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고연령층에서 적정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를 살펴보고자 했다. 방 법: 일부 농촌지역 50세 이상 성인 533명(남자 215명, 여자 318명)을 대상으로 적절한 폐기능검사를 행했으며 담배를 피지 않으며 만성기침, 가래, 천명 등의 호흡이 증상과 심폐질환의 과거력, 척추와 흉곽의 변형 등 호흡기계에 영향을 끼치는 항목을 갖지 않는 건강인군 남자 32명, 여자 11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로부터 노력성 호기곡선을 이용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를 위한 회귀방정식을 구하고 다른 연구의 회귀방정식과 비교해 보았다. 결 과: 남녀 모두에서 FVC는 나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키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FEV_1$은 여자에서는 나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키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남자에서는 키 대신 몸무게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남녀 모두에서 FEVl%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본 연구의 평균 나이, 키, 몸무게을 넣어 구한 추정정상치를 비교해보면 남자에서는 본연구의 FVC, FEV1 값이 다른 연구의 추정치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보이고 있으나 여자의 FVC, FEV1 값은 미국에서 고령의 흑인을 대상으로한 연구와 각각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값을 보였다. 결 론: 일부 농촌에서 50세 이상 건강인군에서 나이, 키, 몸무게를 독립변수로 한 노력성호기곡선을 이용한 폐활량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정상치를 산출하는 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추정정상치들은 기존의 국내 연구에서의 추정정상치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고령층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ATS의 권고 기준에 합당한 폐활량 측정법 검사지표들의 추정 정상치를 구하는 연구들이 앞으로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