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spective Study for Treatment Method of Cervical Tuberculous Lymphadenitis

결핵성 경부 임파선염의 치료방법에 대한 전향적 연구

  • Shin, Kyoung-S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ue, Jae-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o, Dong-S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Geun-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eong, Seong-S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u-O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신경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서재철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동석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근화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성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주옥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선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Background: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is one of the common causes of cervical mass in adult (especially in woman) in korea. Sometimes it appears to be difficult in defining the role of surgery and duration of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Method: To clarify the proper duration and/or combination of regimens,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31 patient with cervical lymphadenitis diagnos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96 to December 1996 and all patients were prospectively randomized into two groups(2HREZ/4HRE and 6HREZ) by treatment method. Result: Prevalent age, male to female ratio, association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history of previous antituberculous medication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average size of the largest lymph node before teatment was $2.43{\pm}0.98cm$ and $3.15{\pm}1.74cm$, respectively and was 0.63cm and 0.6cm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In both groups, 2 patients have engrowing node or not changed node during tratment and no recurrence was found during follow up period upto 12 months. In both groups, no significant side reaction resulting in discotinuation or changing the regimens was noticed. Conclusion: Short course antituberculosis therapy(2HREZ/4HRE) could be recommanded as effective standard therapy for superficial lymph node tuberculosis. Longterm follow up at least 36 months to observe recurrence might be needed to confirm this conclusion.

연구배경: 폐결핵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결핵성 림프선염은 그 빈도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그 치료약제 및 기간에 대해선 정립된 연구가 없었다. 이에 결핵성 경부 림프선염의 치료기간에 따른 치료결과를 전향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6년 3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에 내원하여 결핵성 경부 림프선염으로 진단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2HREZ/4HRE와 6HREZ의 2군으로 나누어 투약하면서 전향적으로 치료결과를 경과 관찰하였다. 결 과: 두군간의 나이와 성별비와 과거의 결핵약 복용유무에 있어서는 임상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림프절의 수는 각각 $2{\pm}1.69$$3.4{\pm}1.98$이었으며 가장 큰 림프절의 평균크기는 $2.43{\pm}0.98cm$$3.15{\pm}1.74cm$로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p>0.05) 치료후에 림프절의 크기로 치료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각각 0.63cm와 0.6cm로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p>0.05) 림프절이 커지거나 변하지 않아 지속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한 경우는 2명이었다. 치료시 투여기간에 따른 부작용의 차이는 피부발진을 제외하고는 없었으며 어떤 부작용의 경우에도 투약을 중단할 정도로 심한 부작용이 있는 환자는 없었다. 결 론: 결핵성 림프선염은 젊은 여자에게서 호발하는 질병으로 경부 임파선염이 가장 흔하다. 결핵성 경부 림프선염은 전신적인 질환의 일부분으로 보고 항결핵 약제의 투여가 기본치료로 되어있으며 치료기간에 대해서는 장기간의 지속적인 투약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있으나 6개월 표준요법으로도 충분히 치료되며 치료종결후 1년간의 추구관찰 결과 재발은 발견되지 않았다. 단 재발유무를 보기위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추구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