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Autonomic Neuropathy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자율 신경 장애의 평가

  • Lee, Hak-J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Park, Hye-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hin, Chang-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Ki-Beo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in-H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Hyun-W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학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혜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창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기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진흥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현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4.30

Abstract

Background: Sleep apnea syndrome, which occurs in 1~4 % of the adult population, frequently has different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such as hypertension, ischemic heart disease, cardiac arrythmia as well as sleep-wake disorder such as excessive daytime hypersomnolence or insomnia. Mortality and vascular morbidity are report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than in normal population. According to the recent studies, autonomic dysfunction as well as hypoxemia, hypercapneic acidosis, and increased respiratory effort, may playa role in the high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However the cause and mechanism of autonomic neuropathy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are not well understood. We studied the existence of autonomic neuropathy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and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athogenesis of autonomic neuropathy. Method: We used the cardiovascular autonomic neuropathy(CAN) test as a method for evaluation of autonomic neuropath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patients who diagnosed sleep apnea syndrome by polysomnography and 15 persons who were normal by polysomnography. Results: Body mass index and resting systolic blood pressure were higher in sleep apnea group than control group. Apnea index(Al),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RDI) and snoring time percent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leep apnea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uration of oxygen and sleep efficiency in two groups. In the cardiac autonomic neuropathy test, the valsalva ratio was significantly low in sleep apnea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other tests had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CAN scores and corrected QT(QTc) interval were calculated significantly higher in sleep apnea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AN scores and QTc interval. There were no significant data of polysomnography to correlate to the CAN score. It meant that the autonomic neuropathy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was affected by other multiple factors. Conclusion: The cardiovascular autonomic neuropathy test was a useful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autonomic neuropathy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and abnormalities of cardiovascular autonomic neuropathy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However, we failed to def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thogenesis of autonomic neuropathy of sleep apnea syndrome. This study warrants futher investigations in order to define the pathogenesis of autonomic neuropathy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연구배경: 수면 무호흡 증후군에서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심부정맥등과 같은 심혈관 합병증과 주간 과다 졸음증은 주간 사고와 사망율의 증가와 관계가 있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의 심혈관 합병증의 원인으로는 수면중의 저산소혈증과 자율 신경 장애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까지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자율 신경 장애 유무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발생기전도 잘 밝혀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자율 신경 장애 검사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법이 유용한 검사가 될 수 있을지를 알아보았고 자율 신경 장애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장애가 의미있는 상관 관계가 있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방 법: 수면 다원 검사에서 수면 무호흡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에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를 실시하여 환자군에서 자율 신경 장애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또한 수면 무호흡 증후군에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가 유효한 검사법이 될 수 있을지를 알아 보았다. 또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 결과와 수면 다원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자율 신경 장애와 관계있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결 과: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법의 결과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Valsalva maneuver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서 낮게 측정되었으며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율 신경 장애의 정도를 나타내는 자율 신경 장애 접수는 환자군이 $1.10{\pm}0.55$점으로 대조군의 $0.30{\pm}0.36$ 점보다 의의있게 높았으며, 교정한 QTc 간격도 환자군이 $423.93{\pm}18.44msec$, 대조군이 $396.93{\pm}19.85msec$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그러나 자율 신경 장애 접수와 교정한 QTc 간격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r=0.410, p=0.073). 자율 신경 장애 점수와 수면 다원 검사에서 측정된 항목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지는 항목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자율 신경 장애 정도를 유형에 따라 5가지로 분류하고 환자의 분포를 당뇨병 환자와 비교해 본 결과 두 질환은 서로 다른 분포를 보였다. 결 론: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에서 심혈관 자율 신경 장애 검사법을 적용하여 자율 신경계의 장애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심혈관자율 신경 장애 검사법이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율 신경 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이었다. 앞으로 자율 신경 장애의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한 더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