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lue of ICAM-1 Expression and the Soluble ICAM-1(sICAM-1) Level as a Marker of Activity in Sarcoido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CAM-1 Level and the Clinical Course of the Disease

유육종증의 활동성 지표로서의 ICAM-1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Ulsan University) ;
  • Paik, Sang-Hoon (Asan Life Science Institute) ;
  • Shim, Tae-S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Ulsan University) ;
  • Lim, Chae-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Ulsan University) ;
  • Lee, Sang-D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Ulsan University) ;
  • Koh, Youn-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Ulsan University) ;
  • Kim, Wo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Ulsan University) ;
  • Kim, Won-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Ulsan University)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백상훈 (아산생명과학연구소) ;
  • 심태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Published : 1998.02.28

Abstract

Background: The natural course of sarcoidosis is variable from spontaneous remission to significant morbidity or death. So the assessment of disease activity is important but no single parameter was generally accepted as a good marker. Recently several studies suggested that adhesion molecules, especially ICAM-1 can be a marker, but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And only few data are available about the relationship of ICAM-1 with clinical follow-up course. Methods: We measured the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on BAL cells by flow cytometry and the level of soluble ICAM-1(sICAM-1) in serum and BALF at the time of diagnosis in 12 patients with active disease and 7 inactive sarcoidosis(5 male, 14 female, mean age: $39.4{\pm}10.7$ years, mean follow-up : $20{\pm}15$ months). Follow-up clinical course were compared with the changes in serum sICAMA-1 level and the adhesion molecule on BAL cells. Results: In the patients with active disease, the ICAM-1 on AM(RMFI: $3.68{\pm}1.71$) and sICAM-1 level in serum($582{\pm}193$ng/ml) and BAL fluid($47.8{\pm}16.5$ng/ml) were all higher than those of 7 inactive disease(RMFI: $1.89{\pm}0.75$, p=0.0298, serum: $294{\pm}117$ ng/ml, p=0.0049, BALF: $20.9{\pm}8.3$ ng/ml). In the active sarcoidosis, ICAM-1 on AM(RMFI : $1.51{\pm}0.84$) and serum sICAM-1 were decreased after the therapy($250{\pm}147$ ng/ml)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noted in inactive disease. Also we found the initial ICAM-1 on AM and serum sICAM-1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FT after the therapy. During the follow-up, the disease relapsed in 4 patient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steroid and the serum sICAM-1 level went-up again at the time of relapse.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the serum sICAM-1 level and the ICAM-1 expression on AM can be a good marker of disease activity and also a predictor of outcome in sarcoidosis.

연구배경: 유육종증은 원인불명의 만성 육아종성병변으로서 전신에 다 생길수 있으나 폐문부 임파절을 위시한 흉곽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유육종증의 경과는 다양하여 많은 환자들이 치료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되나 일부 환자들에서는 병변이 계속진행하여 호흡부전이나 심지어는 사망까지도 초래하지만 어떤 환자가 계속 진행할지를 알려주는 좋은 지표는 아직도 발견되지 못하였다. 최근 염증세포들이 침윤을 위해서는 접착분자들이 활성화된다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접착분자, 특히 ICAM-1이 이러한 유육종종이 활동성이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고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육종증 환자들의 임상양상 및 그 진행경과와 폐포대식세포 AM)에서의 ICAM-1 발현도 및 혈중 가용성 ICAM-1(sICAM-1)농도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방법 및 대상: 조직검사로 확인된 19명의 폐유육종종환자툴(남자 5명, 여자 14명, 평균 연령 : $39.4{\pm}10.7$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7명은 활동성유육종증이었고, 12명은 비활동성 환자들이었다. 진단시 BAL을 시행하여 flow cytomctry로 AM에서의 ICAM-1 발현도를 측정하고, 혈청 및 BAL액내의 sICAM-1 농도를 ELISA 법으로 촉정하였으며, 또한 임상경과중에 혈중 sICAM-1 농도도 측정하였다. 결 과: AM의 ICAM-1 발현도는 활동성환자들에서 (RMFI: $3.68{\pm}1.71$) 비활동성환자들보다 (RMFI: $1.89{\pm}0.75$, P=0.0298) 유의하게 높았고, 혈청 및 BAL 액내 sICAM-1 농도도 활동성 유육종증에서(혈청: $582{\pm}193$ng/ml, BALF: $47.8{\pm}16.5$ng/ml) 비활동성 환자들보다(혈청 : $294{\pm}117$ ng/ml, p=0.0049, BALF: $20.9{\pm}8.3$ ng/ml) 증가되어 있었다. 또한 활동성환자들의 AM의 ICAM-1 발현도 및 (RMFI: $1.51{\pm}0.84$) 혈중 sICAM-1 농도는 steroid치료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250{\pm}147$ ng/ml), 비활동성 환자들에서는 경과관찰중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4명의 환자들에서는 부작용으로 steroid를 중지한 후 유육종종이 악화되었는데 이때 혈중 sICAM-1 농도도 같이 증가하였으며 1명에서는 재치료후 증상호전과 함께 sICAM-1농도도 감소하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ICAM-1, 특히 혈중 sICAM-1 농도는 유육종증 활성도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