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ation-Induced Grafting of Acrylic Acid onto Cellulose : II. Effects of Multi-Functional Monomer and Acid on the Grafting

셀룰로오스에 아크릴산의 방사선 그라프트 반응: II. 다관능성 단량체와 산의 첨가 효과

  • Kwon, Oh Hyun (Dept. of Industrial Chemistry, College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 Nho, Young Chang (Radioisotopes.Radiation Application Team,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 Lee, Young Moo (Dept. of Industrial Chemistry, College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권오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 노영창 (한국원자력연구소 하나로센터 동위원소.방사선응용연구팀) ;
  • 이영무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 Received : 1997.11.27
  • Accepted : 1998.03.05
  • Published : 1998.06.10

Abstract

Cellulose grafted with acrylic acid(AAc) was prepared by radiation grafting technique. The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reaction time, monomer concentration, and the crosslinkers on the AAc grafting reaction on cellulose were examined. The amount of AAc grafted on the cellulose reached maximum at the concentration of 0.75vol% difunctional crosslinker and 1.0vol% trifunctional crosslinker,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acid, the amount of AAc grafted on the cellulose was decreased when reaction solution contains difunctional crosslinker, while that was increased when reaction solution contains trifunctional crosslinker. In the grafting reaction of cellulose with AAc and TMETA, mixture containing ferrous sulfate and acid enhanced further AAc grafting yield than mixture containing ferrous sulfate only.

아크릴산의 셀룰로오스에 대한 방사선 그라프트 반응에서 가교제로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첨가할 경우 그라프트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작용기가 2개인 1,2-propandiol dimethacrylate(PDDMA)와 작용기가 3개인 1,1,1-trimethylolethane triacrylate(TMETA)를 아크릴산에 대한 부피분율로 첨가하여 그라프트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라프트 반응시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량, 조사선량, 반응온도, 반응시간 등이 그라프트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아크릴산에 가교제로서 다관능성 단량체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반응을 시킬 때 2관능성 단량체인 PDDMA 는 0.75부피%, 3관능성 단량체인 TMETA는 1.0부피%에서 최대의 그라프트율을 나타내었다. 아크릴산에 PDDMA가 소량 함유된 그라프트 반응에서 그라프트용액에 산을 첨가하면 그라프트율은 감소하였으며 강산일수록 감소현상은 증가하였고, TYMETA는 산을 첨가하여 그라프트 반을을 시키면 그라프트율은 증가하였다. 3관능성 단량체인 TMETA가 포함된 그라프트 반응에서 $FeSO_4{\cdot}7H_2O$와 산을 동시에 첨가하면 산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 그라프트율을 나타냈고, 산만을 첨가하면 과다한 단일중합체의 형성으로 그라프트 반응을 수행할 수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Polym. Sci. & Technol v.8 G. S. Kang;J. H. Lee;H. B. Lee
  2. British Pat. 1,161,259 P. M. Cook
  3. Radiation Chemistry v.54 A. Mazuyama
  4. J. Mater. Sci v.3 A. T. Hemida;R. Pailler;R. Naslain
  5. J. Appl. Polym. Sci v.49 N. Kabay;A. Katakai;H. Egawa
  6. J. Membrane Sci v.58 S. Tsuneda;K. Saito;S. Frusaki
  7. Sep. Technol v.18 G. Ellinghorst(et al.)
  8. JPI Journal v.28 no.5 T. Sugo
  9. Radiat. Phys. Chem v.29 J. Okamoto
  10. J. Polym. Sci. Chem.Ed v.30 Y. C. Nho;J. L. Garnett;P. A. Drorjayn
  11. Macromolecules v.25 Y. Ito;M. Inaba;D. J. Chung;I. Imanishi
  12. J. of Korea Ind & Eng. Chemistry v.7 J. S. Park;Y. C. Nho;J. H. Jin;M. Z. Lee
  13. J. Appl. Polym. Sci v.41 I. K. Mehta;S. Kumar;G. S. Chauhan;B. N. Misra
  14. J. Polym. Sci v.55 G. Odian;M. Sobel;A. Rossi;R. Klein
  15. J. of Korea Ind. & Eng. Chemistry v.7 Y. C. Nho;J. H. Jin
  16. J. Korean Ind. & Eng. Chem v.3 Y. C. Nho;J. L. Garnett
  17. Discussions Frarday Soc v.29 E. Collison(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