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ong Guk Oriental Medicine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Volume 7 Issue 1
- /
- Pages.33-41
- /
- 1998
- /
- 1226-556X(pISS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Activation of Cell mediated immunity in Murine Lymph node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y DNCB -Based on the change of T lymphocytes and Il-2 receptors-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 피부 주변 림프절에서의 세포성 면역 활성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T 림프구와 IL-2 수용기의 분포 변화를 중심으로 -
- kim, Jin-Taek (Department of Anatom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Ahn, Sang-Hyun (Department of Anatom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Park, In-Sick (Department of Anatom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Chung, Jae-Man (Department of Anatom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Ho-Hyu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i Myung University)
- 김진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안상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박인식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정재만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김호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Published : 1998.08.31
Abstract
Lymph node tissues of BALB/C mouse treated with DNCB were immunohistochemically observed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of cell mediated immunity in lymph node of murine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he inguinal region of BALB/C mice were sensitized by one application of
본 연구는 알러지성 접촉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 유발 피부 주변 림프절에서의 세포성 면역활성으로 나타나는 면역조직화학적 형태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DNCB로 인위적인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을 BALB/C계 생쥐의 샅바위부분 피부에서 유발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샅바위 림프절(inguinal lymph node)에서의 T 림프구와 IL-2 수용기의 분포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에서는 L3T4(CD4)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도움 T 림프구, Ly2(CD8)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독성 T 림프구 그리고 CD25R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IL-2 수용기를 가진 세포는 곁피질(paracortex)과 수질동(medullary sinus)에서 분포하였다. DNCB에 의한 알러지성 접촉피부염 유발후 24시간부터 도움 T 림프군, 세포독성 T 림프구 그리고 IL-2 수용기를 가진 세포가 곁피질과 수질동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48시간에 이르러서는 그 분포와 양성반응성이 최고에 달했다. 48시간의 이러한 분포는 수질동에서 잘 나타났으며, 특히 세포독성 T 림프구가 많은 증가를 보였다. 72시간에 이르러서는 양성반응세포가 서서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조군에 비해서는 여전히 증가된 분포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DNCB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유발시 림프절에서는 도움 T림프구의 분열 활성 증대로 인한 IL-2 생성 분비 증가의 결과 세포독성 T 림프구의 분열 활성을 유도하는 일련의 세포성 면역연쇄반응의 활성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세포성 면역연쇄반응의 활성은 주변 피부에서 일어나는 알러지성 접촉피부염로 인한 피부손상을 주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