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linical State and Functional Outcome in Acute Stroke Patients

급성기 뇌졸증 환자의 상태와 기능회복도와의 상관관계

  • Choi, Eun-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Won-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최은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철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1998.02.28

Abstract

Nowadays there were two tendencies of studies about prognostic factors in stroke. One way was to define prognostic factors according to the radiological features. And the other way was to define according to the mental state, recognition, perception, motors, language, urinary&bowel incontinence etc.. The former could be objectively investigated, while the latter was diffic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would be predictors of stroke and which factors would be affect predictions mo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Dept. of Internal Medicine, Dongguk Univ.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hthin 48 hours from attack,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IM, CNS, NIH stroke scale. We compared each sub-items of FIM, CNS, NIH stroke scale about mental state, recognition, perception, motors, language, urinary&bowel incontinence with MBI score at 4 weeks from admission. Also,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of sub-items and groups which devided into 5 according to independence of MBI score. And we found out the most influent factors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mean of MBI score at 4 weeks of each groups devided low, middle, high score at mental state, recognition, perception, motors, language, urinary&bowel incontinence item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items. 2. The mental state and lim ataxia sub-item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groups divided according to independence of MBI score. All the other ite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3. The most influent factors was recognition. The second was sensory and the third was bowel incontinence. 4. The most influent scales was FIM, and the second was CNS, and NlH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y.

최근 뇌졸중 예후에 관한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방사선 소견에 예후인자를 살펴보는 방법과, 방사선 소견을 배제한 환자의 상태, 즉 의식이나 인지, 지각, 운동, 언어기능, 대소변 장애 등의 여부와 예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방법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비교적 객관적인 검토가 가능하지만, 후자의 경우는 연구방법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저자는 후자의 방법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뇌졸증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다음과 같은 통계연구를 하였다. 연구대상은 동국인천한방병원 내과에 일원한 환자 중 뇌졸중 증상발현 48시간 이내에 입원하였으며, 4주간의 추적검사가 가능하였고, 방사선 검사에서 뇌혈관 질환으로 판단된 환자 32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입원 시 각 환자의 임상기록지에 기능평가방법의 하나인 FIM, NIH scale, CNS 점수를 기록하고 그 각각의 sub-item 중에서 의식, 인지, 지각, 운동, 언어기능과 대소변 장애에 해당하는 항목을 골라 4주후 MBI로 평가한 기능회복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 각 항목 중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FIM, NIH scale, CNS의 총점을 다중회귀 분석하여 어느 기능 평가도가 예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도 알아보았다. 의식, 인지, 지각, 운동, 언어, 대소변 항목에 해당하는 FIM, NIH scale, CNS의 각 sub-item에서 점수별로 상, 중, 하위의 군을 나누어 4주후 MBI 평균점수를 살펴본 결과 모두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 이러한 요인들이 예후에 영향을 미친것을 알 수 있었다. 또 MBI 점수의 독립성을 기준으로 해서 5군으로 나누어 각 Sub-item과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의식과 지각기능 중 Lim-ataxia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Sub-item을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인지기능이 예후에 가장 큰 영항을 미쳤으며, 지각기능 중 sensory항목과 대변장애가 다음으로 영향을 미쳤다. FIM, NIH scale, CNS의 총점을 나누어 다중회귀 분석하여 본 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평가도는 FIM이었고, 다음은 CNS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