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NLINESS AND WALL MORPHOLOGY OF ROOT-END RETROGRADE CAVITY MADE BY ULTRASONIC DIAMOND INSTRUMENTS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의 정화도 및 와벽형태

  • Kim, Sung-Kyo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im, Choon-Hee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Tae-Kyung (Department of Conserva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성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보존학교실) ;
  • 임춘희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보존학교실) ;
  • 권태경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보존학교실)
  • Published : 1998.04.07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the cavity wall morphology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cavity cleanliness when root-end retrograde cavity preparation was done with ultrasonic diamond instruments. To observe the morphology of retrocavity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cavity cleanliness. root-end resections were done on 20 palatal roots of extracted maxillary first molars after canal filling with gutta-percha. Retrocavities were prepared using either ultrasonic diamond instruments or stainless steel ones of medium power setting of level 6 ($Miniendo^{TM}$, EIE, CA, U.S.A.). Morphology of the cavity. degrees of the remaining canal debris and smear layer were evaluat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avities prepared with ultrasonic diamond instruments showed scratched appearance of wall, while ultrasonic stainless steel preparation showed hatcheted appearance. Ultrasonic diamond instruments induced more smear layer than stainless steel ones did (p<0.01) in the cav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nal debris (p>0.05).

치근단 역충전 와동 형성을 위한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의 임상적 적용의 타당성 및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의 와벽 형태 및 와동 정화도를 관찰하여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의 것과 비교하였다. 초음파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형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된 상악 제 1 대구치 치근에서 근관을 형성하고 gutta-percha로 충전한 다음 근단 3mm부위를 치아 장축에 직각되게 절제하고 초음파 다이아몬드 기구 및 초음파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로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으며, 형성된 치근단 역충전 와동내벽의 정화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와벽의 잔존 잔사 및 도말층의 양을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 형태는 다이아몬드 입자에 의해 긁힌 자국이 선명한 양상을 특정적으로 보인 반면,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로 형성된 와동의 와벽은 계단식의 층을 특정적으로 보여 주었다. 다이아몬드 기구로 형성된 와동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 와동에 비해 내벽 도말층의 량이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 (p<0.0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