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보존과학회지)
- Volume 7 Issue 1
- /
- Pages.23-30
- /
- 1998
- /
- 1225-5459(pISSN)
- /
- 2287-9781(eISSN)
SEM-EDS Microanalysis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Yangdong-ri Remains, Kimhae
SEM-EDS를 이용한 경남 김해 양동리 출토 유리구슬의 분석 고찰
- Kim, Gyu Ho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Ho-Am Art Museum) ;
- Huh, Woo Young (Conservation Science Laboratory, Ho-Am Art Museum) ;
- Kim, Dong Won (Museum of Dongeui University)
- Published : 1998.09.25
Abstract
The examination of scientific analysis could give many information on the object of ancient glass. It would be allowed to understand the cultural situation and a course of inflow that the data of glass composition was classified by raw materials, technique of making, period and regional groups. Quantitative analysis conditions for SEM-EDS were set for glass and glaze on the pottery and 62 samples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Yangdong-ri remains at Kimhae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t was found that the glass beads were made of all alkali-glass. In addition, it was postulated that the potash glass was appeared from the 1st century A.D. and soda glass was appeared from the late second or early 3rd century A.D. in this region. The colors of glas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metallic elements such as copper, iron and manganes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glass beads could be classified and characterized by raw materials, color, period and regional groups.
고대 유리제품에 대한 과학적 분석 조사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중에서 조성 분석을 통하여 사용 원료, 제작 방법, 시대, 그리고 지역으로 그룹화하여 문화 수준과 유입 경로등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나 도자기의 유약 등으로 이루어진 문화재 시료에 대한 SEM-EDS의 정량분석 조건들을 설정하였고, 경남 김해 양동리에서 출토된 유리 구슬 조각 62점을 정량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지역의 유리구슬은 알칼리계 유리로써 칼리계 유리는 AD 1세기, 소다계 유리는 AD 2세기 말~3세기 초부터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리의 색상은 전이금속 구리, 철, 그리고 망간의 함유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이 분석결과는 고대 유리구슬의 성분 함유량이 원료, 색상, 유구편년, 그리고 지역에 따라 그룹이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