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of Life(QOL), Life Satisfaction, and Its Determinents of the Physically Disabled in Taegu City

대구지역 재가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Lee, Young-Sook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Keon-Yeop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i-Soo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 Jae-Hee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Young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9.0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QOL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the author interviewed, by using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440 individuals among the physically disabled who were participated in Health Examination from April to July, 1997.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sex, age, marital status, family number, etc),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RNLI) to assess QOL, and the single item of five-likert scale to evaluate life satifaction. The means of RNLI were $16.2{\pm}4.8$ in total score, $12.2{\pm}3.4$ in daily functioning and $4.0{\pm}2.1$ in perception of self. The respondents were less reintegrated toward social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than impairments or disabilities. While the satisfied group was 47.3%, the dissatisfied group was 52.7%. A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QOL were age, education, job, grade of disabil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ife satisfaction were related to economic status, job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o improve QOL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it is important that we improve their basic socioeconomic status by getting a job through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induce them to have positive self-assessment by extending the opportunity of social participation.

대구지역 재가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련요인을 밝히고자, 1997년 4월에서 7월 사이 한국건강관리협회 대구지부에서 실시하는 장애인 건강검진에 참가한 재가 지체장애인들 중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로 직접 면담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 성, 나이, 결혼상태, 가족수, 교육수준, 경제적 수준, 장애등급, 장애이외의 다른 만성질환 동반여부, 주관적 건강수준을 측정하고, 삶의 질 측정도구로는 Wood Dauphinee 등이 장애인의 정상생활 적응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발한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RNLI)를 이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는 현재 자신의 생활에 만족하는 정도를 리커트 척도 5점으로 측정하였으나 만족군이 적어서 불만족군과 보통이상의 만족군 두 군으로 나누어서 분석에 이용하였다. 삶의 질 측정으로 사용된 RNLI의 평균점수는 총점 $16.2{\pm}4.8$, 기능항목 $12.2{\pm}3.4$, 인지항목 $4.0{\pm}2.1$이었다. 기능항목 9점이상의 높은 군이 86.6%인데 비해 인지항목 4점이상의 높은 군은 63.2%으로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문항별로 보아 기능항목의 멀리 여행가기, 직업활동, 사회활동의 참여에 인지항목의 대인관계나 사회생활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이 높아, 기능장애나 능력장애 보다는 사회적 활동이나 대인관계 영역에 대한 적응이 낮은 것으로 보였다. 삶의 만족도 평가에서 불만족군이 52.7%인데 비해 보통이상의 만족군이 47.3%로 나타났다. 단변량분석 결과 삶의 질에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경제적 수준, 직업, 장애등급, 다른 만성질환 동반 여부, 주관적 건강수준이 유의하였으나, 다변량분석 결과 연령, 교육수준, 직업, 장애등급, 주관적 건강수준이 유의하였다. 삶의 만족도에는 연령, 교육수준, 경제적 수준, 직업, 다른 만성질환 동반 여부, 주관적 건강수준이 단변량분석에서 유의하였으나, 다변량분석 결과 경제적 수준, 직업, 주관적 건강수준이 유의한 예측요인이었으며,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 인지적인 면이 일상생활동작의 기능적인 면에 비해 삶의 만족과 더 관련성이 높았다. 장애인의 삶의 질 및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직업적 재활교육으로 인한 취업 확대로 그들의 기본적인 경제적 수준을 높이고, 또한 이러한 사회적 참여의 기회를 넓힘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라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