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wning Behavior and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of the Korea Freshwater Goby, Rhinogobius brunneus (Gobiidae: Perciformes)

한국산 밀어 (Rhinogobius brunneus)의 산란습성, 난발생 및 자어의 형태발달

  • HAN Kyeong-Ho (Department of Aquaculture,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KIM Yong Uk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E Kyu-Jung (Department of Aquaculture,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한경호 (여수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 김용억 (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 최규정 (여수수산대학교 양식학과)
  • Published : 1998.01.01

Abstract

The spawning behavior,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of the Korea freshwater goby, Rhinogobius brunneus (Temminck et Schlegel) were studied. The eggs were spawned as a one-layer mass, hanging from the underside of a small pebble, and guarded by one male. The eggs were elliptic, about 1.48 mm in length and 0.65 mm in breadth, with a round top and a somewhat flat base with glutinous fibers. Hatching in the indoor tank with $17.0^{\circ}C$ in mean water temperature started from the 146 hours after fertilization. In the late developing stages, the embryo moved and freely changed its head to face the free tip of the chorion (normal egg) or to the basal end with a boundle of adhesive filaments (agrippa egg). Newly-hatched larvae were $3.10\~3.30$ mm in total length (mean: 3.22 mm), and mouth and anus were not yet open. Melanophores were present on the air- bladder, around the anus, and on the ventral part of the caudal region. The larva $3\~4$ days old transformed to postlarval stage, and they were $3.30\~3.85$ mm in total length (mean: 3.60 mm). As yolk sac and oil globules werw nearly absorbed, mouth and anus were open, and they fed rotifers actively. In $20\~22$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grew to 5.85 mm in 71, and the caudal notochord flex at $45^{\circ}$.

밀어 어미를 경상남도 김해군 상동면 매리에 위치한 하천에서 끌망과 쪽대을 사용하여 채집하여 사육하여 1995년 2월부터 5월까지 6차례에 걸쳐 산란행동과 난발생 과정을 관찰하였으며, 부화한 자어를 사육하면서 성장에 따른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1. 산란된 알은 수조내의 작은 돌 아랫면에 거의 원형에 가깝게 한층으로 조밀하게 매달려 있었으며, 방정후 수컷은 알을 보호하였다. 2. 수정난은 난경이 $1.28\~$1.56\times0.62\~0.67mm$로 부착사를 지닌 투명한 침성란으로 많은 소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3.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사육수온 $16.0\~18.0^{\circ}C$ (평균 $17.0^{\circ}C$)에서 수정후 146시간 30분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4. 밀어의 알은 발생 후반에 배체의 머리 부분이 난황의 선단부를 향하는 정상난과 반대로 난막의 기부, 즉 부착사 쪽을 향하는 역자난이 출현하였다. 5.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3.10\~3.30mm$ (평균 3.22 mm)로 입과 항문이 열려있지 않았고, 흑색소포는 부레위, 항문 주변, 꼬리 중앙부분의 배쪽에 산재되어 있었으며, 근절수는 $25\~27$개 였다. 6. 부화후 $3\~4$일째의 자어는 전장 $3.30\~3.85mm$(평균 3.60mm)로 난황과 유구가 거의 흡수되어 입과 항문이 열리고, 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7 부화후 $20\~22$일째 개체는 평균 전장 5.85mm로 성장하였으며, 척소미단이 $45^{\circ}$ 정도로 위로 굽어져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