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Isolation, Refining and Utilization of Lecithin from Skipjack Viscera Oil 1. The Isolation and Refining of Lecithin

참치 내장유 중에서 레시틴의 분리,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레시틴의 분리 및 정제

  • KIM Kui-Shi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University) ;
  • JEONG Bo-Yo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
  • BAE Tae-J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University) ;
  • OH Won-Su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11.01

Abstract

In order to the effective utility of marine by-product, crude lecithin was isolated from skipjack viscera oil and the lecithin was refined by bleaching and deodorization. Crude lecithin was separated from the skipjack viscera oil degummed with 0.4 ml of citric acid per 100 ml of the oil. Bleaching was effected by adding $5\%$ activated clay and treating for $40^{\circ}C$ for 90 min under vacuum, and deodorization was effectively conducted by steam distillation at $130^{\circ}C$ for 60 min under 4 ton of vacuum.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skipjack viscera oil. were 16:0. 18:1 (n-9), 22:6 (n-3), 18:0, and 16:1 (n-7). Crude and refined lecithins contained more aproximately $7\~18\%$ of 22:6 (n-3) than raw oil, the skipjack viscera oil.

참치 통조림 가공 중 얻어지는 부산물중 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레시틴을 분리한 후 탈색과 탈취 등의 정제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치 내장유에서 최적의 레시틴 분리를 위해 첨가하는 구연산량은 시료유 100ml에 대하여 0.4ml가 적당하였다. 레시틴의 탈색은 활성백토 $5\%$를 첨가하du 처리 ($40^{\circ}C$, 10분)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탈취조건은 4Torr 이하의 감압하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처리 ($130^{\circ}C$, 60분)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참치 내장유중의 주요 인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 sphingomyelin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었다. 참치 내장유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onoene산 및 polyene산의 순이였다.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16:0, 18:1 (n-9), 22:6 (n-3), 18:0, 및 16:1 (n-7)의 순이였고 그 외에 14:0, 20:5 (n-3) 및 18:1 (n-7)도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최후 정제공정을 거친 탈취 내장유 레시틴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olyene산 및 monoene산 순이였다. 또한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지 방산은 16:0, 22:6(n-3), 18:1 (n-9), 14:0, 16:1 (n-7), 18:0 및 18:3 (n-3)순이였고 그 외에 16:1 (n-7), 20:5 (n-3) 및 14:0도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