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ftriaxone Associated Biliary Pseudolithiasis

Ceftriaxone 사용후 발생된 Pseudolithiasis

  • Kim, Jae-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 J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wan-Jo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 Young-Ryul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eo, Jeong-Kee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재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재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환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영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서정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1998.08.21
  • Accepted : 1998.09.08
  • Published : 1998.09.30

Abstract

Purpose: Ceftriaxone, a potent parenteral third-generation semisynthetic cephalosporin is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a variety of bacterial infections in both children and adult. Review of recent data indicates that ceftriaxone treatment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reversible biliary pseudolithiasis and that is thought by many to be a benign process. Despite, several reports describe patients with ceftriaxone pseudolithiasis who required cholecystectomy for presumed acute cholecystiti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ncidence, risk factors, and prognosis of gallbladder pseudolithiasis after ceftriaxone treatment. Methods: Between march, 1997 and January, 1998, any child admitted to the Children's hospital of National University of Seoul and prescribed ceftriaxone for probable or definite bacterial infection were eligible for the study. 21 of them had ultrasound examination on the 2~12 days later after the start of ceftriaxone treatment, 8 of whom documented gallbladder precipitates or pseudolithiasis during treatment by serial abdominal ultrasound. Repeat abdominal ultrasound was performed 10~80 days later after the end of ceftriaxone treatment. The children with underlying liver disease or decreased renal function were excluded in this study. Results: 1) 21 children had ultrasound examinations of gallbladder during ceftriaxone treatment and 8 (38%) of them acquired pseudolithiasis. 2) The patients who developed gallbladder pseudolithiasis were significantly older ($6.3{\pm}2.9$ yr. vs $2.2{\pm}3.1$ yr.)(p<0.05), and older than 24 months were probably the significant risk associated with this phenomenon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type of infection, fasting, and ceftriaxone treatment regimen (dose, duration of therapy). 3) The abnormality found on gallbladder ultrasonography was a strikingly hyperechogenic material with post-acoustic shadowing in 5 patients without post-acoustic shadowing in 3 patients 4) Follow up of gallbladder ultrasound was performed in 6 patients after cessation of ceftriaxone treatment. Sonographic abnormalities completely resolved within 14 days post cessation of therapy in 2 patients; 30 days, 1 patient; 80 days, 3 patients. Conclusions: We suggest that routine abdominal ultrasound should be considered in all children who received high dose ceftriaxone in more than 24 months of age and developed hepatobiliary symptoms during or just after ceftriaxone treatment.

목 적: ceftriaxone은 제 3세대 반합성 cephalosporin제제로 강력한 항균작용이 있어 중증 감염성질환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합병증으로 항생제로서는 유일하게 담낭오니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의 보고들에 의하면 ceftriaxone의 사용으로 발생된 담낭오니는 약제투여를 중단하면 자연 소실되는 양성경과를 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드물게 담낭절제술이 시행된 경우도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ceftriaxone 투여로 발생된 담낭오니의 발생빈도, 유발위험인자, 예후 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7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세균성감염이 의심되어 입원하여 ceftriaxone으로 치료 받으면서 복부 초음파검사가 가능했던 21례 중에서 담낭오니의 발생이 확인된 8명의 환자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적관찰 초음파검사는 6례에서 시행되었다. 선행하는 간질환이나 신기능이 떨어져 있는 경우는 본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1) 총 21례의 환자에서 ceftriaxone으로 치료 도중에 복부 초음파검사가 가능했으며, 38%(남아 4례, 여아 4례)에서 담낭오니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2) 담낭오니가 발생된 군의 나이가 $6.3{\pm}2.9$세로 발생하지 않은 군의 나이 $2.2{\pm}3.1$세보다 의미있게 많았으며(p<0.05), 24개월 이후의 연령군에서 이전의 연령군에서보다 더 잘생겼다(p<0.05). 3) 담낭오니는 8례 모두에서 고음영의 에코를 보였으며, 5례에서 후벽음영이 동반되었다. 4) 추적관찰 초음파검사가 가능했던 6례 중 2례는 약제의 투여가 끝난 때로부터 14일째, 2례는 30일째, 나머지 2례는 80일째 시행한 복부초음파검사에서 각각 정상 담낭소견을 보였다. 5) 담낭오니의 발생과 ceftriaxone의 투여용량, 투여기간, 금식, 원인질환 등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ceftriaxone 투여로 인한 담낭오니의 발생은 나이가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24개월 이상의 연령군에서 의미있게 발생빈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나이가 24개월 이상의 환자에게 고용량($60{\sim}100\;mg{\cdot}Kg^{-1}{\cdot}day^{-1})$의 ceftriaxone을 투여한 경우와 약제 투여 후에 간담도계 증상이 발생된 모든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담낭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