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lternative Polic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New Town in Metropolitan Area, Korea -The case of Jisan.Bummul, Taegu-

대도시 신시가지의 지속가능한 개발 대안 모색 -대구시 지산.범물지구를 사례로-

  • Jin, Won-Hyung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new town development in metropolitan area, Korea and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case study area selected for empirical research is Jisan Bummul new town in Taegu. In the part of theoretical review, it is considered that the urban form suitable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metropolis is the type of decentralized concentration. For the decentralized concentration form, we suggest developing suburban centers with self-sufficiency within a metropolis. This strategy is to develop a few suburban centers on the outskirts of a metropolis to decentralize urban activities of the central city, and to conserve the remaining. The empirical study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new town development shows that Jisan Bummul new town generally have low environmental sustain ability, because of the policy of mass housing provisions without consideration on overall natural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apacity of the area. To develop a new town. we must first select the locational site with minimum possibility of the destruction of natural environment, and th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towns into compact form to minimize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 a new town should be developed into a large scale to obtain urban self-sufficiency. Third plans must be established for decentralising both industrial and residential functions of a metropolis simultaneously. As more detailed policy implica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polic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conditions and enhance the level of services of public transport facil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that takes the adjacent developmental area into consideration, and to prepare various action plans to bring up the facilities of self-sufficiency. In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 of a new town, the adapt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must be emphasized. But, to take a program for short-term mass housing provisions must be restricted.

본 연구는 대도시의 지속가능(持續可能)한 개발(開發)을 위한 정책 방안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대구시 지산 범물지구를 사례로 신시가지 개발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실증적(實證的)으로 분석 평가하여, 대도시 신시가지의 지속가능한 개발 대안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目的)이 있다. 대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 방안의 하나로 대도시외 신시가지를 분산적 집중도시의 형태로 개발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시가지 개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9개의 지속가능성(持續可能性) 지표(指標)를 중심으로 지산(池山) 범물신시가지(凡勿新市街地) 개발의 지속가능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 신시가지는 기능적 분산과 아울러 중심도시와 일정거리를 둔 공간적 분산 방안이 동시에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주거기능과 함께 산업기능의 동시분산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지속가능성 지표들은 각 지표간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적절히 조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자연환경 파괴의 최소화를 위해 고밀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통학시설자족성을 위해서는 교육여건의 제고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시설의 서비스나 질을 개선하는데 정책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인접한 사업지구는 통합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자족시설의 조기 유치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단기간내에 대단위 주택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신시가지 개발은 지양되어야 하며, 대중교통계획을 기초로 한 신시가지의 입지선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