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ed Microscopy
- Volume 28 Issue 2
- /
- Pages.171-180
- /
- 1998
- /
- 2287-5123(pISSN)
- /
- 2287-4445(eISSN)
A Cytochemical Study on the Vacuolar Apparatus Participating in the Transport of Bile Acids in the Rat Hepatocytes (Cytochemical Study on the Vacuolar Apparatus for Bile Acid Transport)
담즙산 분비과정에 관여하는 흰쥐 간세포내 소기관에 관한 세포화학적 연구
- Shin, Young-Chul (Department of Anatom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신영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Published : 1998.06.01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the vacuolar apparatus were investigated in the hepatocytes of rats treated with DA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of conventional and cytochemical thin sections. In the rats after 20 min of dehydrocholic acid treatment, the cis Golgj cisterns were sacculated in line. The saccule occasionally occured by elongation and attenuated neck. The lysosomes also showed protrudent saccule. The vesicles were observed near the cis Golgi cisterns, lysosome and bile canaliculi. Some of the vesicles appeared to be fused to bile canaliculi. The cis Golgi cisterns usually faced toward the bile canaliculi both in norma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cis Golgi cisterns, protrudent saccule and vesicles were almost devoid of visible contents. The osmium deposits were heavy on the protrudent saccule as well as on the cis Golgi cisterns or on the vesicles isolated near by, but they were light or not observed on the vesicles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bile canaliculi. The acid phosphatase activities appeared on the lysosome and vesicles located near by, but did not appear on the vesicles as approaching closer to the bile canaliculi. The evidence suggests that the vesicles are derived from the cis Gogi cistern and lysosomes and fuse to bile canaliculi for exocytosis, and that the activity in the vesicles is diminished as approaching closer to the bile canaliculi.
본 연구에서는 dehydrocholic acid를 투여한 흰쥐 간세포의 vacuolar apparatus를 세포화학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박절편에서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는 소낭상으로 팽대된 부분이 열지어 있었으며 어떤것은 돌출되어 있었다. 이러한 소낭 모양의 돌출부는 용해소체 표면에서도 관찰되었다. 소포들은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와 용해소채 및 담세관 주위에서 볼 수 있었으며 소포가 담세관에 융합되어 있는 것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들은 dehydrocholic acid 투여 후 20분이 경과된 흰쥐에서 현저하였다. 정상군이나 실험군에서 거의 모든 Golgi 장치의 형성면은 담세관을 향하고 있었다. 박절편에서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와 소낭 모양의 돌출부 및 소포는 가시물질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 Osmium은 이들구조에서 심하게 침착되어 있었다. 용해소체와 그 주위에 있는 소포에서는 acid phosphatase 활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담세관 주위에 있는 소포에서는 osmium의 침착이나 acid phosphatase 활성이 경하게 나타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증거들로 미루어 소포는 Golgi 장치의 형성면과 용해소체에서 유래되며 이들소포가 담세관에 융합됨으로서 담즙산이 분비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포가 담세관에 접근해 감에 따라 소포의 효소활성은 저하되는 것 같이 보인다.
Keywords
- Vacuolar apparatus;
- Golgi apparatus;
- Endoplasmic reticulum;
- Lysosome;
- Vesicle;
- hepatocyte;
- Dehydrocholic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