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이 흑색종(黑色腫)의 폐전이(肺轉移) 억제(抑制) 및 면역조절작용(免疫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hungsangbohahwan on Murine Melanoma-induced Lung Metastasis

  • Ha, Jee-Yong (Dept. of Oriental Pathology,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 Ji University) ;
  • You, Byeong-Gil (Dept. of Oriental Pathology,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 Ji University)
  • 발행 : 1998.12.21

초록

1. 연구배경 최근 놀라운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난치병이라고 생각되어 오던 질환들이 하나씩 정복되어 가고 있으나 평균수명의 연장,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고지방식, 스트레스 및 과학기술발전의 부작용 등을 이유로 새로운 질환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종양도 이런 대표적인 질환중 하나로 최근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투자를 해왔으나 아직까지 그 발생원인이나 성장기전 등이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효후(哮吼)를 치료하는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을 이용하여 흑색종의 폐전이 억제능과 이에 의한 면역증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2. 연구결과 B-16 세포를 이용한 C57BL/6계 마우스에 있어서의 폐전이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검액처리 7일후에는 52.70%, 14일후에는 19.43%의 유의성있는 억제율을 보였으며,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의 B-16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항암작용을 알아 보기 위한 시험관내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의 용량이 $5{\mu}g/well$, $2.5{\mu}g/well$, $1.25{\mu}g/well$, and $0.625{\mu}g/well$인 경우 유의성있는 효과를 얻을수 있었으며 생존율에 의한 $IC_{50}$$2.17{\mu}g/well$이었다. NK-activity를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이 작동세포와 표적세포의 비율이 100:1, 50:1의 경우에 있어서 $72.63{\pm}5.17%$, $26.94{\pm}2.43%$를 보여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1.12%, 43.68%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IL-2의 생산능을 측정한 결과 청상보하환(淸上補下丸) 투여군은 $1392.00{\pm}22.31pg/ml$을 보여 대조군에 비해 4.04%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effect by Chungsangbohahwan after B-16 cells were transplanted in C57BL/6 mice, and the immune responses in mice induced by methotrexate, the extract of Chungsangbohahwan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mice for 21 days.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for measurance of metastasis, cell cytotoxicity in vitro,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productivity of interleukin-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hibition of metastasis in Chungsangbohahwan-treated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with significance on 7th day and 14th day. 2. On the MTT assay,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5{\mu}g/well$, $2.5{\mu}g/well$, $1.25{\mu}g/well$, and $0.625{\mu}g/well$ of Chungsangbohahwan concentration inhibited cell viability significantly(P<0.05). $IC_{50}$ for cell viability was $2.17{\mu}g/well$. 3.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Chungsangbohahwan-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100:1, 50:1 E/T(effect cell/target cell) ratio(P<0.05). 4. Production of interleukin-2 in Chungsangbohahwan-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5).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