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Stable Revegetation Measures on Rock Cut-Slopes - Availability of Forest Topsoil as a Hydroseeding Material in Greenhouse Experiment -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대한 환경생태적(環境生態的)으로 안정(安定)된 녹화공법(綠化工法)에 관(關)한 연구(硏究)(I)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를 이용(利用)한 녹화토(綠化土)의 효능분석(效能分析)을 위한 실내실험(室內實驗)-

  • Woo, Bo-Myeong (Dep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 and Life Sciences, Seoul Nat'l Univ.) ;
  • Kim, Kyung-Hoon (Dep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 and Life Sciences, Seoul Nat'l Univ.)
  • 우보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김경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대학원)
  • Received : 1998.04.01
  • Published : 1998.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the forest topsoil as a source of the "Native-soil(seed-fertilizer-soil materials)" for the hydroseeding measures which ar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stable revegetation measures on rock cut-slopes. Soil sampling and factorial experiments were used with a split plot design(main plot : forest soil type and soil spraying thickness, subplot : seeding rate) in 1996.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Because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seeded(introduced) species and the native species, the number of naturally emerged species in the non-seeded plot and that of in the seeded plot were $5{\sim}9species/0.07m^2$ and $2{\sim}6species/0.07m^2$, respectively. As increasing the seeding rate(introduced species), the appearance ratio of naturally emerged species was decreased.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was high in the plot which used coniferous forest soil as a seed source, however the ratio of the individuals of naturally emerged species was high(30%) in the plot which used deciduous forest soil. The usage of the forest topsoil as seed bank source onto the "Native-soil" materials for hydroseeding could be reduce the seeding rate to $1,000seedlings/m^2$. According to the several factors which are competition between seeded species and naturally emerged species, dryness of soil materials, and seed burial, spraying thickness with more than 5cm was suitable for the growth of plants in variety.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적용할 수 있는 종비토(種肥土)뿜어붙이기공법(工法)용 녹화토양자재(綠化土壤資材)로서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부터 현지조사 및 파종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유형(類型) 및 토양의 피복(被覆)두께에 따른 식생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할구배치법(分割區配置法)(주구(主區) : 산림토양의 유형과 토양피복두께, 세구(細區) : 파종량)에 의한 요인실험(要因實驗)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림토양(山林土壤)에 함유된 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의 발아 생육으로 외래초종(外來草種)을 파종하지 않는 시험구에서는 5~9종/$0.07m^2$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였다. 외래초종의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기에 우점된 외래초종의 영향으로 공시초종 3종외에 자연적으로 출현한 종은 2~6종/$0.07m^2$으로 감소하였다. 식생의 총 출현개체 수는 침엽수토양을 이용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자연적으로 발생한 종의 비율은 활엽수토양을 이용한 실험구에서 약 30%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을 함유한 산림토양을 생육기반으로 사용할 경우, 초기에 파종된 외래종(外來種)과 자연적으로 발생한 종의 공생으로 기존의 종자 사용량을 1,000본/$m^2$(발생기대본수) 수준으로 감소시켜도 조기에 다양한 식생을 조성할 수 있었다. 종비토뿜어붙이기공법에 적용시 파종한 종과 자연출현종과의 경쟁, 표층부의 건조, 하부에 매몰되는 종자원을 고려할 때 토양의 피복두께는 5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다양한 식생의 생육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