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착생지의류(樹木着生地衣類)를 이용한 울산지역(蔚山地域)의 대기환경평가(大氣環境評價)

Estimation of Air Pollution Using Epiphytic Lichens on Forest Trees around Ulsan Industrial Complex

  • 추은영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과학부, 경상대학교 부속 농어촌개발연구소) ;
  • 김종갑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산림과학부, 경상대학교 부속 농어촌개발연구소)
  • Chu, Eun-Young (Faculty of Forest Science and The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Fishery Development, Gyeong 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Kab (Faculty of Forest Science and The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Fishery Development, Gyeong 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8.04.20
  • 발행 : 1998.09.30

초록

대기오염이 심한 것으로 판단되는 울산지역의 석유화학공단과 온산공단을 중심으로 수목착생지의류를 이용한 대기환경의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공단 주변의 산림에서 지의류의 출현종수와 피도, 생육한계분포농도에 따른 분포특성과 대기청정도지수(IAP)를 조사한 결과,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지의류는 총 16종류였으며, 그중 Lepraria sp.(30.85%)과 Lecanora strobilina(26.18%), Parmelia austrosinensis(13.42%)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석유화학공단과 온산공단 주변 조사지점에서는 지의사막대(地衣砂漠帶)의 형성과 더불어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출현종수가 증가했다. 조사지점별 평균피도는 I-V계급으로 오염물질이 공단이 위치하는 해안가로부터 내륙으로 유입됨을 추측할 수 있으며,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평균피도계급도 증가하였다. $SO_2$ 농도에 대한 지의류의 종별 생육한계분포농도에 따른 분포특성을 Cladonia sp.과 Dirinaria applanata, Parmelia austrosinensis, Lepraia sp., Lecanora strobilina를 대상으로 살펴 본 결과, 오염에 대한 민감정도에 따라 분포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대기오염에 내성 종인 Lepraria sp.과 Lecanora strobilina는 I부터 V의 피도계급으로 가장 폭넓게 분포하였으며, 분포형태가 비슷한 Lecanora strobilina도 대기오염에 강한 종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대기청정도지수(IAP)는 0-64.3으로 6계급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조사지점별 IAP 등치선도는 피도 등치선도와 비슷한 형태로 공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IAP가 높아졌다. IAP와 지의류 출현종의 분포는 IAP가 5-10으로 낮은 부분에서는 대기에 저항성 종으로 알려진 Lepraria sp.과 Lecanora strobilina가 출현하고 있었으며, IAP 5-10 사이부터는 Parmelia austrosinensis와 Dirinaria applanata가 IAP 10이상부터 오염에 비교적 약한 종으로 말려진 Cladonia sp.를 비롯하여 Candelaria concolar와 Parmelia borreri 등이 출현하였고, 조사지점의 IAP와 지의류의 출현종수는 정의 상관관계 (r=0.9308)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ir pollution using epiphytic lichens on forest trees around Ulsan and Onsan industrial complex from April to June, 1997. The distribution of lichens was investigated at 58 sampled sites. In this study, 16 kinds of epiphytic lichens were recorded, of them, Lepraria sp. having a tolerance to air pollu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s 30.85%, and in order of Lecanora strobilina(26.18%) and Parmelia austrosinensis(13.42%) unknown to tolerance of air pollution. The number of lichens was gradually decreased around industrial complex, where so - called "lichen desert" was detected. As being distant from the industrial complex, the mean degrees of cover were increased. The degrees of cover in the investigated sites ranged from I to V. According to $SO_2$ concentration limiting lichen's growth, the pattern of distribution of Cladonia sp., Dirinaria applanata, Parmelia austrosinensis, Lepraia sp. and Lecanora strobilina were dissimilar by sensitivity to air pollution Especially Lepraria sp. and Lecanora strobilina were widely distributed to degree of cover from I to V, and as the both had a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it could be inferred that Lecanora strobilina had also a tolerance to air pollution. The IAP values ranging from 0 to 64.3 were arranged into six groups and the investigated area was delineated into six IAP zones to represent degree of air environment. It was a high IAP value as being distant from industrial complex. The mare IAP increased, the more number of kinds of lichens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pecies, coverage and IAP value of epiphytic lichen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of urban area and industrial complex.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