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ignificance of Segmental Parenchymal Excretion Delay on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an

Tc-99m DISIDA 간담도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의 분절형 배설지연의 임상적 의의

  • Kang, Do-Yo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Ryu, Jin-So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Moon, Dae-Hyu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Myung-Hw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Hee-Ky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강도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핵의학과) ;
  • 류진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핵의학과) ;
  • 문대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핵의학과) ;
  • 이성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 ;
  • 김명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 ;
  • 이희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핵의학과)
  • Published : 1998.04.30

Abstract

Purpose: Segmental parenchymal excretion delay on Tc-99m DISIDA scan is caused by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However, the diagnostic value for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is unknown. We conducted this study to assess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segmental excretion delay for the diagnosis of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and additional benefit over other noninvasive radiologic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43 patients (48 scans) who showed segmental parenchymal excretion delay on Tc-99m DISIDA scan. The results of abdominal CT or ultrasonography, which was done within 1 month of Tc-99m DISIDA scan, were compared with scintigraphic findings. Results: The etiology of segmental parenchymal excretion delay was determined by ERC or PTC in 31 scans, and follow-up studies in 13 scans. No causes were identified in 4 scans.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segmental parenchymal excretion delay for intrahepatic bile ductobstruction was 92% (44/48). On the other hand, 13% (5/38) of CT and 28% (5/18) of ultrasonography were normal. In 18% (7138) of CT and 17% (3/18) of ultrasonography, only intraheipatic bile duct dilatation was noted without any diagnostic findings of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Conclusion: Segmental parenchymal excretion delay on Tc-99m DISIDA scan had a high positive predictive value for the diagnosis of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Tc-99m DISIDA scan may be useful for the diagnosis of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nondiagnostic CT or ultrasonography. The diagnostic usefulness need to be confirmed by further prospective studies.

목적: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으로 배설지연을 보이는 소견은 분절형 간내담관폐쇄의 소견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소견의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에서의 진단적 가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간 실질 분절형 배설지연 소견의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 진단에서의 양성예측도와, 방사선학적 검사와 비교한 진단적 가치를 알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 배설지연 소견을 보인 43명의 환자(48개 영상)를 대상으로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 1개월 이내에 시행된 CT와 US와 비교하였다. 결과: 31예는 ERC나 PTC에 의해, 13예는 임상적 경과 관찰에 의해 분절형 담도 폐쇄가 확진되었고, 4예는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다. 분절형 담관폐쇄에 대한 Tc-99m DISIDA 간담도 신티그라피의 양성예측도는 92% (44/48)이었다. US의 28%(5/ 18), CT의 13% (5/38)는 정상 소견이고, US의 17% (3/18), CT의 18% (7/38)에서는 담관 확장 소견만이 있었고, 원인이 되는 병변을 알 수 없었다. 결론: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 배설지연을 보이는 소견은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 진단에 높은 양성 예측도를 가진다. Tc-99m DISIDA 신티그라피는 특히 US나 CT가 정상인 경우에 분절형 담관폐쇄 진단에 선별검사로서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의 분절형 담도관쇄 진단에서의 진단적 가치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