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Screening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fvom the Fruiting Body and Mycelium of Elfvingia applanata.

잔나비 걸상 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의 생리활성 탐색

  • 김성훈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 이주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 김선희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 오세종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 안상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 이진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 박영식 (명진농장 건강식품연구소) ;
  • 정을권 (명진농장 건강식품연구소) ;
  • 이현용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생명공학부)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both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the fruiting body of E. applanata and E. applanata mycelium and the three fractions of ethanol extracts from E. applanata were compared. 91% of MCF7 cell growth was inhibited by adding 0.5 g/l of water extracts of E. applanata and 81% of MCF7 cell growth was inhibited by adding 0.5 g/l of diethyl ether and chloroform fractions. It was also showed that above 60% of Hep3B cell growth was inhibited by adding all samples including the fractions. The ethanol extracts of E. applanata mycelium showed 33.3% of cytotoxicity on normal liver cell, WRL68 in adding 0.5 g/l of the samples and 40% in adding 0.5 g/l of chloroform fractions. The result of anti-mutagenicity of all extracts and fractions including ethanol extracts of Phelinus linteus were showed that diethyl ether fractions were most effective than any other samples. Hypoglycemic activities of diethyl ether and chloroform fractions were the most effective which scores were above 75%. The enhancement of glutathione-S-transferase activity was increased above 2.3 times by adding 1.0 g/l ethanol extracts of E. applanata and diethyl ether, chloroform frac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both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fruiting body and mycelium of E. applanata were almost equivalent.

잔나비 걸상 버섯 자실체와 균사체를 증류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였고 이 중 보다 높은 생리활성을 보인 에탄올 추출물을 디에틸에테르와 크로로포름, 증류수층으로 분획하였다. 암세포 성장은 유방암의 경우 분획물의 활성이 다소 떨어졌으나 간암 세포에 대해서는 증가된 생육 억제율을 보였다. 가장 높은 생육억제율은 유방암세포에 대해 자실체 증류수추출물로 91.2%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세포 독성 실험에서는 증류수추출물보다는 에탄올추출물이 다소 높은 독성을 나타냈고 분획물은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40%의 세포 독성을 보여 주었다. 돌연변이 유발억제 실험 에서는 MNNG의 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한 결과 크로로포름과 디에틸에테르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 효능을 나타냈고 증류수 분획물은 상황 버섯 에탄올추출물과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 혈당강하 기능검색과 간기능 회복 검색에서는 분획물쪽에서 그 효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