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Volume 12 Issue 2
- /
- Pages.119-130
- /
- 1998
- /
- 1229-3857(pISSN)
- /
- 2288-131X(eISSN)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Urban Green Space in Inchon, Korea : a case study of Kangwhado area
인천광역시 산지형 도시녹지의 식생구조 및 관리계획: 강화도지역을 중심으로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to present management plan of mountain type green space in Kangwhado, Inchon. The actual vegetation in survey sites(11,331ha) was divided into 19 community types. It was consisted of secondary forest(92.32%) which was Quercus acutissima, Pinus densiflora-Q. acutissima, and Q. mongolica community so on. Artificial planting forest area, such as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forest and others, was 5.40%(612ha) and it was less than cases in other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57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seven community types; P rigida(community A), Q. acutissima(community B) P. densiflora-Q. acutissima(community C), Q. acutissima-P. densiflora (community D), P. densiflora-Carpinus laxiflora-Q. serrata-Q. acutissima(community E), Q. serrata-Q. mongolica(community F), and Zelkova serrata-Acer mono(community G). From this result, ecological succession trend of vegetation in this area seems to be change from P. densiflora forest through Q. acutissima forest to Q. mongolica, Q. serrata, and C. laxiflora forest. It was similar to the ordinary successional trend of 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middle area,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area was showed acid soil(pH 4.17).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anaging the soil environment for effective vegetation management.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