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Site Investigation on XX Gas Station

국내토양오염 유발시설별 오염현황 조사 - XX 인근주유소 오염현황조사 -

  • 김무훈 (삼성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
  • 강순기 (삼성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
  • 곽무영 (대조바이오텍 주식회사)
  • Published : 1998.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contaminant transfer and environmental impacts to the surroundings by inadequate control of USTs. Several methodologies can be used to approach for the site assessment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contaminants on the site and their types. In this case study, randomized and/or triangle matrix techniques were used. As a result, the composition of materials in tank station were appeared in several state. From 1 to 1.5m depth, the soil was composed of reclaimed soils. And 1.8-3.5m depth, silty sand was appeared and about 4m, weathered soil was appeared. Based on the preliminary and actual site investigation by DPT methodologies on the width and depth of the site with analysis of BTEX and TPH, the contamination was found in this tank station and already distributed near area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ydroflow differences during the season affects the area and depth of contamination.

본 조사의 목적은 적적한 조사방법이 미흡한 주유소에서의 오염현황 조사방법 및 그에 따른 주변지역으로의 오염물질이전 및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Site assessment 방법에는 몇가지의 접근방법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덕영(1997)에 의해 제안된 임의선정법/특별조사법 중 임의 격자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주유소에서의 물질성상은 몇 가지의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지층구조는 약 1.5M까지는 매립토 (잡석&모래)로 충진하였으며, 1.8-3.5M 까지는 부드러운 모래와 미사토(Silty Sand빈 자연적인 토양층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4.0M 가까이에는 풍화토(C층) 출현하였다. (그림3. 지층구조측면도 참조). 또한, 저장탱크지역의 지하수위는 약 2.0M이며 남쪽에 흐르고 있는 개천의 수위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주유소 현황조사에 의하면, 실제의 누출이 UST 및 배관에서 진행되었으며, 오염농도는 대책지역기준인 200PPM을 초과한 것이 확인되었고, 오염원은 면적기준 $45M^{2}$내지 $50M^{2}$에 깊이 약 4M정도로 확산되어 있으며 2.0M에 서 3.5M사이에 부분적으로 고농도로 축적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오염의 정도는 계절에 따른 지하수위의 차이에 의해 이동된 것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