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제14권2호
- /
- Pages.148-158
- /
- 1998
- /
- 2287-1780(pISSN)
- /
- 2287-1772(eISSN)
재미 한인 주부들의 한국 명절음식에 대한 인식
Study of the Korean Americans Housewives' Knowledge of Korean Festival Foods
초록
본 연구는 재미한인 주부 271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명절음식에 대한 인식과 계승정도, 미국음식문화에 동화되어 가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분포는 30대 40.6%,40대 39.9%로 많이 차지하였으며 학력은 대졸이상이 85.2%로 높은 학력 수준이었다. 39.1%가 직업주부였으며 가족의 연봉은 39.9%가 $ 75,000 이상이었다. 핵가족이 84.5%, 카톨릭과 기독교를 가진 주부가 77.5% 정도였으며 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73.8%였다. 미국거주년한은 3년이하(30.3%)부터 16년 이상(19.9%)이었으며 첫째 며느리가 48.4%를 차지하고 있었다. 2.명절음식에 관한 관심도는 77.1%가 관심이 있었고, 명절음식에 대한 상차림의 증요성은 70.5%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명절은 추석(52.0%), 설날(40.9%), 정월대보름(1.1%)이었고, 가장 먼저 생각나는 명절음식은 송편(48.0%), 떡국(39.1%) 순 이었다. 가장 잘 알고 있는 명절음식은 추석(75.3%), 설날(73.5%), 동지(49.8%), 정원대보름(48.3%), 삼복(42.1%), 섣달그믐(24.0%)순 이었고, 가정에서 명절음식을 차리는 현황은 설날(95.9%), 추석(93.0%), 정월대보름(61.3%) 동지(41.7%), 삼복(25.5)이었고 그 이외 명절은 차리는 정도가 낮았으며 중화절과 유두는 차리는 주부가 아무도 없었다. 3. 명절음식의 계승필요유무는 설날(97.0%), 추석(94.8%), 정월대보름(58.7%), 동지(35.0%), 삼복(19.1%), 단오(16.2%), 섣달그믐(11.4%) 순으로 계승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명절음식을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 이유는 미풍양속(67.5%), 식생활문화의 계승(24.7%), 제철음식이므로(5.6%) 등으로 나타났다. 명절음식이 세계적인 음식으로 보급되기 위해 역점을 두어야 할 점은 맛과 냄새(39.5%), 조리방법 (34.7%), 저장성 (10.3%), 위생적 인면(8.1%), 영양(7.4%) 순 으로 응답하였다. 명절음식의 조리방법을 배우게 된 경로는 친정어머니(61.6%), 시어머니(23.6%)순 이었으며 다른 연구와 비슷한 결과이다. 4. 미국의 명절음식을 준비하는 정도는 추수감사절 때 가장 많이 준비했고, 크리스마스, 할로윈 순 이었다. 직업이 있는 주부와 미국거주년한이 많을수록 명절음식의 준비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살펴볼 때 재미한인주부들은 명절음식에 대해 알고있는 정도는 한국이나 중국조선족보다 낮았으며 몇몇 명절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명절들은 인식도나 차리는 정도가 낮았음을 볼 수 있었다. 미국 거주년도가 많아질수록 미국음식문화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명절음식도 계승하고있었다. 한국음식 이 세계적인 음식으로 보급되기 위해서는 맛과 냄새에 더욱 개선·개발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우리의 전통적인 모든 명절을 지낸다는 것은 시대적인 변화에 의해 비현실적이나 명절음식의 관심도나 인식은 길이 전수되어야한다고 본다 친정어머니에 의해서 명절음식이 거의 전수되는 것을 보아 주부들이 명절음식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배우며 익혀 나아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재미 한인 사회에서의 대중매체를 통한 명절음식의 홍보와 재교육이 강화되어져야하겠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Korean festival foods and the acculturation of American main traditional occasions among Korean American housewives residing in the New York and New Jersey area. Out of 400 questionnaires, the 271 respondents were taken. Of the respondents, 77.1% demonstrated the interest in Korean festival foods. The most important Korean festivals were Chusuk (52.0%), Sulnal(46.9%) and Daeborum (1.1%). In order to make the Korean festival foods to be international foods, the most vital factor was taste and flavor (39.5%), cooking method (34.7%), preservation (10.3%), sanitation (8.1%) and nutrition (7.4%). American Thanksgiving Day was the most important occasion among the Korean American housewives. The factors that keep the American traditional occasions were related to whether the respondents had an occupation or the length of stay in the U.S.A. But in case of Korean festival foods, the factors cannot be applied. On the contrary, they do still keep the tradition and the interest of Korean festival foods in U.S.A. As a result of that, the Korean festival foods in the U.S.A. are systemized for the preservation and popularization for the coming Korean generation.